(제주음식스토리텔링) 제주 토종콩의 활용(이론편) - with 양용진 선생님

in #kr6 years ago

IMG_5577.jpg

제주 토종콩의 활용에 대해 배웠다.

제주는 물론 육지의 농촌도 마찬가지지만, 콩농사는 농부에게 매우 중요한 농사이다.
콩을 활용해 된장도 만들고 두부도 만들고 콩국수도 만들어 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렇지만, 콩은 농부에게 소중한 땅의 기운을 회복 시켜주는 훌륭한 작물이다.
그래서 깨나 고추 등 다른 작물을 심었던 밭을 다음해에 콩을 심어 농사를 지으면 지력이 회복되어 그다음 해에 깨나 고추 농사가 아주 잘 된다.
이렇게 여러 작물을 돌려서 심는 것을 윤작이라고 하는데, 윤작을 하는 이유가 콩에 의해 지력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 콩은 우리 농사에서 빠질 수 없는 작물인 것이다.

IMG_8859.jpg

제주의 토종콩은 육지의 콩과 그 크기부터가 다르다.
제주콩을 '좀콩'이라고도 부르는데 이 말은 '준자리콩'이란 뜻이다.
'준자리콩'이란 '파치콩' 즉 덜 자라서 내다 팔지는 못하고 집에서나 해먹는 콩을 뜻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이유로 제주콩을 좀콩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제주콩은 파치가 난 것이 아니라 종자 자체가 그냥 작은 콩이다.
흔히 말해서 '콩나물콩'이라고 하는 것이 제주콩이라고 보면 된다.

나는 전에 귀농생활을 할때 집에서 콩나물을 길러 먹었던 적이 있다.
그냥 된장 담을 때 쓰는 흰콩이나 서리태 같은 검은 콩으로도 콩나물을 길러 먹을 수도 있는데, 흰콩의 경우는 콩나물 대가리가 너무 커서 약간 거부감이 온다.
그리고 검은 콩은 콩나물 껍데기가 검게 남아 있어서 그걸 골라내고 먹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주재래시장을 뒤져 겨우 콩나물 콩을 구해 콩나물을 길러 먹어봤는데, 적당한 크기의 고소한 콩나물이 자라서 매우 만족했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그게 제주산이었다니, 놀라운 일이다.

또다른 특이한 제주콩으로는 푸른콩이 있다.
난 아직 한번도 이 콩을 본 적은 없는데, 속까지 푸른색이 도는 콩으로 '독새기콩'이라고도 부른단다.
이 콩으로 제주의 전통 된장인 푸른콩 된장을 만든다고 한다.

JPEG 이미지-BADE8BDA095F-1.jpeg
제주 음식을 가르쳐 주시는 선생님이 인정하는 제주산 푸른콩 된장.

우리 수업 중에 이 푸른콩 된장을 먹어 봤는데, 그 맛에 완전 빠져 버렸다.
이 된장은 발효를 거의 하지 않아서 쌈장으로도 일품이라고 한다.
된장이야기는 다음에 제주 된장이야기에서 더 자세히 해보도록 하겠다.

제주 콩요리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앞에서 이야기했던 대로 된장을 담는데 주로 사용을 했다.
제주에는 모든 간을 된장으로 하기 때문에 된장은 아주 중요한 식재료이다.
메주를 오래 띄우지 않기 때문에 간장도 우리가 알고 있는 진한 간장이 나오지 않고 맑은 간장이 나올다고 한다.
그리고 고춧가루가 귀해 과거 제주에는 고추장이라는 것도 없었다고 한다.
그러니 오로지 모든 음식의 간을 담당하는 것은 된장이었다.

자리물회라고 제주도에 관광으로 오는 사람들이 즐겨 먹는 물회가 있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초고추장를 풀어서 자리돔을 숭덩숭덩 썰어넣어 뼈째 먹게 만든 얼큰한 자리물회를 먹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제주도 사람들은 그건 절대로 자리물회가 아니라고 한다.
제주도식 자리물회는 그냥 시원한 물에 된장을 풀어넣고, 자리돔을 썰어넣어야 진짜 자리물회라고 한다.
고춧가루와 고추장이 없던 제주도 사람들이 관광객의 입맛을 사로잡아보려고 제주도 사람들은 듣도 보도 못한 '제주도 자리물회'를 만들어 팔고 있는 것이다.

아무튼 된장 이야기는 다음 기회에..ㅋ

그리고 콩으로 해먹는 것이 두부이다.
제주에는 특이하게 두부에서 더 물을 빼내어 마른 두부로 먹었다고 한다.
두부가 잔치 음식이었는데, 잔치를 최소 3일씩 하던 풍습 때문에 두부가 쉬지 않게 하는 그들의 지혜였다고 한다.

IMG_8858.JPG

특히 잔칫날(여기서 잔칫날이란 결혼식을 뜻한다.) 모든 손님에게 '고깃반'이라는 것을 주었는데, 이 고깃반에는 돔베고기와 차거운 순대 그리고 마른 두부를 놓고 잔치에 오는 모든 사람에게 한 접시씩 대접했다고 한다.
두당 무조건 일접시를 주어 평등의식이 담겨 있는 제주 음식이라고 한다.
만약 애기엄마가 애기를 등에 업고 잔치에 오면 애기엄마 몫과 애기 몫으로 고깃반을 두개 주었다고 한다.
바쁘거나 몸이 아파 잔치에 참석하지 못하는 사람을 위해서는 정확히 두당 한 접시씩 도시락처럼 싸서 주었다고 하니 철저한 평등정신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란 고깃반에 올라가는 마른두부를 만드는 것이 콩이다.

제주도 사람들은 겨울이면 콩죽과 콩국을 해먹으며 몸을 따뜻하게 했고, 여름이면 콩국수와 콩잎쌈을 해먹으며 시원한 음식을 즐겼다고 한다.
특히 콩잎쌈 같은 경우에는 콩잎이 비릿한 맛이 나서 육지에서도 잘 먹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 콩잎을 제주사람들은 더 비린 멜젓(멸치젓)과 같이 싸먹었다고 한다.
근데 이렇게 먹으면 비린 콩잎에 비린 멜젓을 먹으니 두배로 비릴 것 같은데, 의외로 비린맛이 안 난다고 한다.
난 먹어보진 않았지만, 제주도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그렇다고 한다.ㅋ
아직은 제주 음식의 배지근한 맛을 모르는 나는 의심스럽긴 하지만..ㅋ

제주 사람들이 자주 끓여 먹는다는 콩국은 만들기도 매우 어렵다.
콩국을 끓이는 내내 불 옆을 벗어나면 절대 안된다.
콩국이 끓어 넘치면 콩국은 정말 맛없는 음식이 된다고 한다.
게다가 콩국은 절대로 끓이는 과정에서 저어주면 안된다.
그러므로 콩국이 끓는 동안 옆에 앉아 있다가 콩국이 끓으면 배추나 무 등을 썰어서 들고 있다가 콩국이 끓는 지점에 하나하나 넣으며 끓어 넘치지 않게 해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뭉근하게 오래 끓여야 한다.
그러니 콩국 끓이는 것이 쉬울 수 없다.

이런 콩국은 동네 잔치 때도 끓이는데 언제나 콩국 담당이 있어야 했다고 한다.
그리고 제주의 엄한 시어머니는 며느리를 괴롭히고 싶을 때 콩국이나 끓이라고 시킨다고 한다.ㅋ
육지든 제주든 시어머니는 참 대단하다.

비영리 국제기구인 슬로푸드 국제본부가 진행하고 있는 전통 음식과 문화 보전 프로젝트로 '맛의 방주'에 승선할 음식을 선정하고 있다.
1996년부터 맛의 방주에 선정된 음식은 전 세계에서 2,700여 개가 있는데, 그중 한국에서는 47개가 선정되었다고 한다.
한국에서 가장 먼저 맛의 방주에 승선한 품목이 '제주푸른콩된장'이라고 하니 제주 콩의 위용이 남다름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제주 음식이 맛의 방주에 가장 많이 승선해 있는데, 제주 흑우(검은소), 제주 강술(가루로 된 술), 제주 꿩엿(엿에 꿩고기를 넣은 것), 제주 쉰다리(쉰밥으로 만든 음료), 제주 재래돼지(흔히 말하는 흑돼지) 등이 더 있다고 한다.

아무튼 제주도에는 콩이 들어가는 요리가 많이 있는데, 대부분 흔해서 구하기 쉽고, 값싸게 먹고 양을 늘릴 수 있어서 콩을 요리에 많이 사용했다고 하니, 어떻게 보면 콩요리도 제주 사람들의 가난의 역사를 보여주는 요리일 수 있겠다.

나는 제주에 와서 콩국을 제일 처음 먹어본 곳은 '오롯'이라고 하는 음식점에서였다.
그때까지만 해도 콩국이 가지고 있는 스토리를 모르고 그냥 먹어서인지 그렇게 관심이 가지는 않았다.
그때 난 그저 슴슴한 콩국물에 배추를 썰어 넣어 끓인 정도라고만 생각했었다.
제주에 와서 콩국이 어떤 것인지 먹어보고 싶으면 한번쯤 가봐도 괜찮은 곳이다.

이러면 본의 아니게 tasteem이 되나?
아무튼 콩국을 맛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소개를 하자면, '오롯'은 제주시 신설로 11길 2-10에 위치하고 있는 음식점이다.

IMG_3399.jpg
겉에서 보면 전혀 화려하지 않은 간판 ‘오롯’이 그냥 지나가다는 볼 수 없을 정도로 차분하게 자리하고 있다.

IMG_3400.jpg
실내에서는 분위기 있는 째즈 음악이 계속 흘러나온다. 몇몇 아저씨들이 공동 대표인 듯, 주방과 홀을 담당하고 있다.

IMG_3401.jpg
이게 메인 메뉴가 나오기 전에 나오는 밑반찬이다. 아주 정갈하다.

IMG_3402.jpg
그리고 슴슴한 콩국도 나온다. 이 콩국은 얼마든지 리필이 가능하다.

IMG_3404.jpg
첫번째 메뉴는 전복비빔밥이다. 전복 비빔밥에는 버터가 들어가 고소하니 파스타맛이 난다.

IMG_3405.jpg
요즘 대세 메뉴인 꼬막비빔밥도 깔끔한게 맛나다.

나올 때 난로에 올려놓았던 구운 고구마를 주는 것도 신선했다. 아마도 추운 겨울이어서 신경쓴 서비스였던 것도 같다.

제주도의 콩국을 한번 맛보고 싶다면 '오롯'에 한번 방문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렇게 제주토종콩이 어떻게 제주 사람들의 생활에서 활용되었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은 이런 콩을 이용한 제주의 역사와 문화가 그대로 담겨 있는 제주 콩요리를 여러 가지 만들어 볼 생각이다.
뭐 맛은... 배지근하겠지??ㅋ

Sort:  

된장도 된장이지만 그 어려운 콩국 맛보고싶네요 제주 음식여행 한번해야겠어요

보통 관광객들이 하는 제주 음식여행은 대부분 관광객 입맛에 맞는 것, 그러니까 엄밀히 말해서는 제주 음식이 아닌 것들이 많아요.
특히 육지에서 유입된 사람들이 차린 음식점이 많아서 더 그런 것 같아요.
잘 알아보시고 하셔야 제대로 된 제주 음식 여행을 하실 수 있을 거에요.^^

짱짱맨 호출에 출동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전복도 꼬막도 비빔밥 맛있어 보여요.
콩 말씀 하시니 비지찌게도 먹고 싶고
순수부에 간장 얹어 먹고 싶고
두부에 김치볶아 얹어 먹고 싶고
두부 디게 좋아하거든요

두부 정말 좋아하시나봐요^^
두부가 고소하니 참 맛있지요.
옛날에 두부 다이어트를 하겠다고 다른 건 아무것도 안 먹고, 하루에 두부 여섯 모 정도 먹었던 적이 있는데, 그때 말고는 저도 두부가 좋았답니다.^^

한식 그것도 제주도만의 맛과 멋이 있는 한식 너무 좋습니다.
오롯에서 오롯이 한그릇 먹고잡네요 ^-^

@hjk96님은 여러 지방 사투리가 되시는 것 같아요.ㅋㅋ
다음에 제주에 여행 오시면 '오롯'에 한번 들려보세요^^

음식의 재료와 조리 방법에는 역사성이 깃들어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네요. 콩국은 보기에는 연한 배추 된장국처럼 보이네요. 슴슴할거 같아요.
tasteem 태그 다셔야 테이스팀이 찾아온대요..ㅎㅎ

태그만 달면 와주시나요?
뭐, 본격적인 테이스팀이 아니라서요.ㅋ
요즘 그게 대세긴 하던데, 보팅도 엄청나게 해주고요.
탐은 나지만, 정확히 주제가 그쪽은 아닌 거 같아서요^^

예전 친정에서도 콩나물을 기르셨어요.
잔콩을 반은 물에 불려 아퀴를 틔우고
반은 마른콩으로 앉히고 틈틈이 물을 주었지요.

파란콩도 완두콩처럼 속까지 파란 콩을
논두렁에 심으셨는데
콩국수를 해도 옥같이 파르스름한 빛이 돌고
밥에 두어도 물이 들지 않고 잘 물러
맛있게 먹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답답이 콩이라고 하던 콩은
메주콩으로 좋다고 하시던 말씀이 생각납니다.

이렇게 제주의 음식문화를 올려주시는 덕에
공부도 되고 잊어버린 옛 생각도 납니다.
감사합니다.

우와~ 콩에 대해서 저보다 훨씬 더 많이 알고 계시네요~~
어제 시장에서 '보리콩'이라는 걸 사왔는데, 알고 보니 완두콩이더라구요. 보리가 날 때 수확하는 콩이라고 보리콩이라고 부른다니 참 귀엽지 않나요?
그것도 밥에 넣어서 밥을 해도 물이 들지 않는데, 아마도 파란콩, 보리콩, 완두콩 다 같은 콩 같아요.ㅋ

답답이콩이라는 네이밍도 재밌네요. 근데 전혀 모르는 콩이긴 해요.ㅜ

콩이야기 참 재밌습니다.^^

콩국은 처음 들어봐요..
제주에는 제가 처음 들어본 국들이 많은 거 같아요
꼬막비빔밥에 콩국 너무 맛나겠어요~
제주시 갈 일이 많지는 않지만
꼭 들러보소 싶네요^^
오늘도 행복한 이야기 듣고 갑니다~!!

아마도 서귀포 쪽에 콩국을 하는 식당이 더 있지 않을까 싶네요.
가끔 마을 잔치 있으면 콩국을 끓여내기도 한다고 하더라구요.
곧 콩국을 만날 기회가 올 거에요^^

오롯 너무 좋은데요 ~ 분위기 최고입니다
전복비빕밥도 너무 맛있겠어요
ㅎㅎ

이름이 멋지죠?
서빙도 어리지 않은 아저씨들이 하고 있어서, 왠지 매너있는 서빙을 받는 거 같아 좋더라구요.^^

제주콩에 대한 설명 잘 봤습니다.
여러모로 박학하심에 놀라고 갑니다
대단~~ ㅎㅎ

박학..ㅋㅋ
제주도 사람들이랑 요즘 제주 음식 수업들으면서 아무것도 모르는 육지껏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ㅜㅜ

소개주신 식당 서울에는 없나요. 가보고 싶네요. 저절로 웰빙이 되는 것 같습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앗! 제가 서울은 잘 몰라서...ㅜㅜ

Coin Marketplace

STEEM 0.32
TRX 0.12
JST 0.034
BTC 64837.84
ETH 3174.86
USDT 1.00
SBD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