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운문) 정리

in #lwj6 years ago

Ⅰ. 상고시대 운문

󰊱 고대 가요

  1. 개념 : 고대 가요는 삼국 시대 이전의 노래로, 원시 종합 예술에서 분화된 서정적인 시가(詩歌)를 의미한다. 집단적이고 서사적인 종합 예술에서 출발하여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시가로 분리, 발전되어 독자적인 장르로 자리 잡게 되었다.

  2. 특징
    (1) 초기에는 의식요‧노동요가, 후기에는 개인적 서정 시가가 주로 창작됨.
    (2) 문자 없이 구전되다가, 한자의 습득과 더불어 한역으로 전한다.
    (3) 설화 속에 삽입되어 전함. 이는 서사 양식과 서정 양식의 미분화를 의미함. (이는 서정가요가 원래부터 독립된 형태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서사 문학 형태 속에서 독립하면서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음.)

  3. 문학사적 의의
    ① 국문학사상 최초의 서정 시가 형태.
    ② 두 토막씩 넉 줄 또는 네 토막씩 두 줄로 된 노래로서 초기 단계의 우리 시가의 기본적인 형식을 보여줌.
    ③ 한국 시가의 연원으로서 민족 문학의 뿌리를 형성.

작품
작가
성격
내용
공무도하가
백수 광부의 처
개인적 서정적
물에 빠져 죽은 남편을 애도하는 노래.
황조가
고구려 유리왕
개인적 서정적
꾀꼬리의 정다운 모습을 보고 실연의 슬픔을 노래.
구지가
가야의
구간(九干)
집단적 주술적
수로왕의 강림을 기원하는 주술적인 노래.
정읍사
행상인의 처
개인적 서정적
행상 나간 남편을 염려하는 아내의 마음을 노래한 백제의 시가.
해가
강릉
백성들
집단적 주술적
용에게 납치된 수로 부인을 구출하기 위해 부른 주술적인 노래.

☞ 「정읍사」는 현전하는 유일의 백제가요. / 시조 형식의 원형을 간직한 노래.

󰊲 향가

  1. 개념 : 넓은 의미의 향가는 중국 한시에 대한 우리 나라의 노래라는 뜻이고, 좁은 의미로는 신라 때부터 고려 초기까지 향유되었던 향찰로 표기된 우리 고유의 시가를 뜻한다.
  2. 향가의 특징
    (1) 형식
    ① 4구체 : ‘민요, 동요, 무가’가 문자로 정착된 초기의 형식, 민요적.
    ② 8구체 : 4구체에서 발전된 형태로 4구체에서 10구체로 발전해 가는 과도기적 형태를 보인다.
    ③ 10구체(=사뇌가) : 가장 정제된 형식으로서, 낙구 첫머리가 감탄사로 시작됨. ‘4구+4구+2구’의 3장 형식. 시상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다 낙구에 주제를 제시하여 마무리함. (시조 종장의 첫머리가 감탄사로 시작되는 것과 흡사하다하여 시조의 기원으로 보기도 함.)

(2) 내용

  • 불교적인 것이나 화랑의 삶을 노래한 것이 주류를 이루나 인생을 노래하고 자연을 예찬하고 이상 세계를 염원하고 현실의 고뇌를 노래하는 등 신라인의 다양한 사상과 감정을 잘 드러내고 있음.

(3) 작자
① 승려나 화랑 등의 귀족 多.
② 그러나 모든 계층이 함께 향유한 것으로 추정.

(4) 수록 문헌
<삼국유사> : 14수 / <균여전> : 11수.

  1. 향가의 문학사적 의의
    ① 우리 문학사상 최초로 정형화된 서정시.
    ② 향가의 가사와 표기 형식은 신라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
    ③ 소박하면서도 깊이 있는 수사로 원만하고 차원 높은 신라인의 정신세계를 잘 반영.
    ④ 우리 문학의 주체성을 보여주면서 민족정신과 정서를 바탕으로 하여 꽃피운 민족 문학의 유산.

제목
지은이
비고
내용
서동요
서동
4
구체
백제의 서동이 선화공주를 유혹한 노래
풍요
성안의 남녀
양지가 영묘사 장육존상을 만들 때, 장안의 남녀들이 진흙을 나르면서 부른 불교적인 노동요
헌화가
견우 노인
수로부인이 절벽 위의 철쭉꽃을 탐하기에 소를 끌고 가던 노인이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민요
도솔가
월명사
두 개의 해가 한꺼번에 나타나 왕이 월명사에게 산화공덕하게 하여 지어 부른 공덕의 노래. 일명 산화가(散華歌)
모죽지랑가
득오
8
구체
삼국을 통일한 화랑인 죽지랑을 사모하여 부른 노래
처용가
처용
역신이 자기 아내를 범하매 처용이 이 노래를 불러 굴복시켰다는 무가
혜성가
용천가
10
구체

혜성이 나타나 이 노래를 부르니 혜성이 없어지고 왜구도 사라졌다는 축사의 노래
원왕
생가
광덕
광덕이 극락왕생을 바라며 달에 부쳐 부른 신앙의 노래
원가
신충
효성왕이 신충과 사귈 때 후일을 약속했으나 즉위 후 잊어버리매 이 노래를 지어 잣나무에 붙였다는 주가
제망
매가
월명사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위하여 재를 올릴 때 부른 추도의 노래
안민가
충담사
충담사가 경덕왕의 요청으로 부른 치국의 노래
찬기파랑가
충담사
화랑인 기파랑을 찬양하여 부른 노래
도천수관음가
희명
희명이 생후 5년 만에 눈이 먼 아들을 위해 분황사 관음보살에게 부른 기도의 노래. 일명 ‘천수대비가’
우적가
영재
영재가 도둑을 만나 이 노래를 불러 회계시킨 교훈의 노래
보현십원가
균여
균여대사가 불교의 보급을 위해 지은 노래
(전체 11수)

Ⅱ. 고려시대 운문

♣ 시대 개관
중국 문화와의 교류로 한(漢) 문화가 도입되면서 향가와 같은 국문 문학이 위축되고 한문문학이 융성하게 되었다. / 평민들의 삶의 애환과 생활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한 고려 가요가 [소악부]에 한시로 번역되고 궁중에서도 불려졌다. / 고려 말, 새로운 문학 담당층으로 떠오른 신흥 사대부는 새로운 시가 양식인 경기체가를 향유하였으며 시조 양식을 다듬어 갔다. / 시조는 귀족 문학과 평민 문학으로 양분되어 있던 당시의 문학적 풍토에서 이 둘을 아우름으로써 국민문학의 기틀을 형성하였다.

󰊱 향가계 여요

  1. 개념 : 신라 때의 향가가 고려 가요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생겨난 과도기적인 시가 형태. (향가계 여요는 향가와 고려 가요를 연결하는 교량적 역할을 하는 문학 형태임.)

  2. 특징
    ① 도이장가 (고려 예종) : 팔관회에서 이루어진 작품으로 예종이 김낙, 신숭겸을 추모하는 일종의 추모시, 찬송시. 8구체형식, 분장은 되어 있으나 후렴구가 없고 향찰로 표기됨.
    ② 정과정 (정서) : 정서가 동래로 유배 가서 지은 작품. 내용은 충신연주지사이며 유배가사에 속함. 향가의 10구체와 유사한 형태이며, 분장되어 있지 않고, 후렴구도 없으며, 국문으로 표기. 낙구 첫머리에 ‘아소’라는 감탄사 有. 사미인곡에 영향 미침. / ‘아소 님하’라는 표현, 3음보에 가까운 형태, 님을 그리는 정서면에서 속요와 유사함.

󰊲 한시의 융성

  1. 전개양상
  • 고려 시대에는 과거 제도의 실시, 국자감 등의 교육 기관 설치, 불교의 융성 등으로 인하여 한문학이 발달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받아 한시도 발달하였다. 거듭되는 외침으로 민족의식이 고양되면서 이규보의 ‘동명왕편’, 이승휴의 ‘제왕운기’ 등의 민족 서사시가 창작되었다.
  1. 주요작품

작품
작가
연대
형식
내용
동명왕편
(東明王篇)
이규보
고려
고종
5언
28구
고구려 시조인 동명왕의 영웅적인 행적을 노래
송인
(送人)
정지상
고려
인종
7언
절구
임과 이별한 슬픔을 노래
부벽루
(浮碧樓)
이색
고려

5언
율시
인간 역사의 무상함과 자연의 영원함을 대비시켜 노래
사리화
(沙里花)
이제현
고려

7언
절구
탐관오리의 수탈과 횡에 대한 고발을 노래

󰊳 고려 가요

  1. 개념 : 일반적으로 고려 시대 귀족층에서 향유한 경기체가에 대하여,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를 말하며 향가계 여요 또한 고려 가요에 포함시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임.

  2. 형성

  • 고대로부터 내려온 민요에서 형성된 것으로, 구전되어 오다가 훈민정음 제정 이후 조선 성종대에 이르러 문자로 정착되기 시작. 향가가 쇠퇴하면서 귀족층의 한문학이 고려 문단을 이끌어 가게 되자, 이와 상대적으로 평민층에서 새로이 나타난 노래가 고려가요이다. 조선 시대 유학자들에 의해 문자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남녀상열지사라고 하여 개작 또는 삭제된 작품이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1. 형식
  • 대부분이 분절식 (주로 3․3․2조, 또는 3․4․4조)으로 구성. / 분연체(분절체, 연장체) / 후렴구와 조흥구 발달
    [참고]
    ․여음 : 가사의 뜻 전달에 관계없이 덧붙이는 말
    ․후렴구 : 흥을 돋움, 노래를 길게, 운율에 기여, 주제 형상 (후렴구는 뜻이 없이 악률을 맞추기 위한 장치로 주로 악기 소리를 빌려온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서 삶의 괴로움을 잊고자 하는 당시 사람들의 낙천적인 성격을 엿볼 수 있다.)
    ․반복구 : 주제 강조, 운율 / ․조흥구 : 흥을 돋움, 운율
  1. 내용
  • 현세적, 향락적, 퇴폐적, 주로 남녀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숨김없는 인간성을 나타냄. 소박하고 풍부한 가정과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 특히 남녀 간의 사랑을 솔직하게 표현한 작품이 다수 창작되었는데, 조선 시대 유학자들이 남녀상열지사라 하며 문헌에 싣지 않음.
  1. 작자
  • 대부분 연대 미상, 작자 미상, (평민 계급을 작자 예상)
  1. 문학사적 의의
  • 아름다운 우리말 표현과 유려한 율조, 표현의 소박성과 함축성, 꾸밈없는 생활 감정의 표출 등으로 인하여 국문학사상 백미로 평가된다. 음악적으로 경쾌한 리듬을 살리는 기교 등으로 고전 문학의 진수를 보여준다.

작품
형식
내용
동동
(動動)
13연,
월령체
월별로 자연 경물이나 절기에 따라 남녀의 애정을 읊은 노래
처용가
(處容歌)
비연시
신라의 향가 ‘처용가’를 부연해서 부른 축사(逐邪)의 노래
이상곡
(履霜曲)
비연시
남녀 사이의 애정을 노골적으로 노래한 남녀상열지사
만전춘
(滿殿春)
5연,
분연체
남녀의 애정을 대담․솔직하게 노래한 남녀상열지사, 형식상 시조와 가장 비슷함.
사모곡
(思母曲)
비연시
어머니의 극진한 사랑을 낫에 비유하여 예찬함. 효심가.
청산별곡
(靑山別曲)
8연,
분연체
현실 도피적인 생활상을 읊은 노래
서경별곡
(西京別曲)
3연,
분연체
서경(평양)의 여인이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며 이별의 정한을 읊은 노래
가시리
4연,
분연체
떠나는 임에게 곧 다시 돌아오라고 애원하는 이별가
정석가
(鄭石歌)
6연,
분연체
임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며 사랑을 굳게 맹세한 연주가(戀主歌)
쌍화점
(雙花店)
4연,
분연체
남녀의 사랑을 적나라하게 노래한 유녀(遊女)의 남녀상열지사
유구곡
(維鳩曲)
비연시
비둘기와 뻐꾸기를 통해 잘못된 정치를 풍자한 노래
상저가
(相杵歌)
비연시
효도를 주제로 한 방아타령의 일종인 노동요

󰊴 경기체가

  1. 개념 : 고려 중엽 무신난 이후 새롭게 정계에 등장한 신흥 사대부들에 의해 향유된 노래로, 교술적 성격을 지닌 문학이다. 고려 고종 때 발생하여 조선 선조 때까지 약 350년간 이어진 별곡체 형태의 시가를 이르는데, 그 최초의 작품은 한림학사들이 지은 ‘한림별곡(翰林別曲)’이다. 이 노래는 노래 말미에 반드시 ‘~경(景) 긔 엇더하니잇고’ 또는 ‘경기하여(景幾何如)’라는 구절을 붙이기 때문에 ‘경기체가’ 또는 ‘경기하여가’라고도 한다.

  2. 형성 배경

  • 고려 후기 무신정변 이후에 새롭게 등장한 사대부 계층의 유흥적이고 향락적인 생활에서 나왔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
  1. 특징

제1행
3․3․4

전대절
(前大節)
제2행
3․3․4

제3행
4․4․4

제4행

위(爲) ~ 경(景)긔 엇더 니잇고

제5행
(葉) 4․4․4․4

후소절
(後小節)
제6행

위(爲) ~ 경(景)긔 엇더 니잇고

(1) 형식

(2) 내용 : 선비들의 학식과 체험을 노래하는 것으로서 글, 경치, 기상 등을 제재로 삼았다. 사물이나 경치를 나열함으로써 신흥 사대부의 호탕한 기상과 자부심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3) 문학적 한계 : 경기체가는 운율적으로는 음악적이지만 내용에 문학성이 많이 부족하다. 형태적으로도 폐쇄적 성격(한자어, 사물의 나열, but 정제된 형식미를 갖춘 장르라고 그 의의를 이야기하기도 함)을 지니고 있으며, 작자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제약이 큰 장르로 이후 인기를 얻지 못하고 소멸하게 된다.

구분
경기체가
속요
공통점
3음보 율격, 렴구, 分聯형태
형식상
차이점
․귀족문학
․기록문학으로 출발
․생경한 한자어구에 이두식 후렴구를 붙임
․후렴구 고정
․평민 문학
․구비문학으로 출발
․순수한 우리말을 아름답게 구사
․후렴구 다양
내용상
차이점
․퇴폐적․향락적 귀족의 생활과 자연 감상
․내용이 진솔․솔직

󰊵 시조의 발생

  1. 시조의 개념 : 고려 후기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신흥 사대부들이 경기체가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이념을 표출하기 위해 또 다른 표현 영역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창안된 국문학 양식이다.

  2. 전개 양상

  • 고려 중엽에 발생, 고려 말에 형식이 완성되었으며 향가에서 기원하여 고려 가요의 분장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귀족문학과 평민문학으로 양분되어 있던 당시의 문학적 풍토에서 이 둘을 아우름으로써 새로운 국민 문학의 기틀을 형성하였다.

Ⅲ. 조선 시대의 문학

♣ 시대 개관 1 (조선전기 : 조선 건국~임진왜란)
훈민정음 창제로, 구비 문학이 고유의 문자로 정착되고 한글로 된 국문문학이 활발히 창작된 본격적인 우리 문학의 형성기이다. / 독특한 양식인 악장문학은 조선 왕조의 건국 위업을 찬양하고 왕실의 무궁한 번영을 기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작되었다. / 중국의 문학 작품과, 불경, 운서 등이 우리말로 변역되었는데,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가 한글로 번역되었다. / 시조가 국문 문학의 대표 장르로 자리잡았으며 시조와 쌍벽을 이루는 가사 문학이 발달하는 등 운문문학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 시대 개관 2 (조선후기 : 임진왜란 이후~갑오개혁)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양반 사대부의 권위가 실추되고 평민 계층의 현실 비판 의식이 고조되었다. / 문학 담당층이 평민과 부녀자로 확대되고 비현실적, 소극적인 유교문학에서 이용후생을 추구하는 실학파 문학으로 변모하였다. / 평민들이 시가 문학을 창작하게 되면서 시조가 장형화되어 사설시조가 등장하였으며 가집(歌集) 편찬이 성행하였다. / 시가의 내용도 자연스럽고 소박한 민중의 애환을 담은 작품들이 많이 창작되었으며, 민요, 잡가, 판소리가 활성화되었다.

♣ 조선후기 문학의 특징
① 현실주의적 경향의 대두 : 현실을 비판하고 지배층을 규탄하며 자아각성과 평민 의식을 구가하는 새로운 내용이 작품 속에 투영되었고, 표현은 한층 사실적이고 내용은 생활적이 되었다.
② 산문화, 장편화의 경향 : 평민 의식의 성장은 산문 정신과도 의미가 통한다. 시조는 초기의 정형성에서 벗어나 엇시조, 사설시조와 같은 중장형의 시조로 형태의 변화가 이루어졌고, 가사 역시 보다 산문적인 기행 기사나 유배 가사 등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여성들의 내방가사도 많이 지어졌다.
③ 국문 소설의 발생 : 평민 계층의 자각이 싹터 오던 시기인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 발생. 광해군 때 허균이 지은 ‘홍길동전’이 최초의 작품. 대개 국문 소설은 권선징악을 내용으로 한 운문체이며. 전형적이고 일대기적 구성이 대부분으로 중국을 배경으로 한 것이 많다.
④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 : 종래의 도학적 공리적 문학에서 실리와 현실을 추구하는 문학으로 발전. 특히 발지원의 한문 소설은 우리 문학의 전통적 유산으로 높이 평가받음.
⑤ 기타 - 판소리가 새롭게 등장. 탈춤이 널리 공연. 구전되어 오던 많은 설화들이 소설화되어 널리 읽힘. 김천택 김수장 등이 가단을 조직하고 가집 편찬.

󰊱 악장

  1. 개념 :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초기 왕의 행차나 종묘 제향 등 국가적인 행사에 사용하던 음악의 가사로서, 조선 건국 및 문물제도를 찬양하는 송축가를 말함.

  2. 특징
    ① 발생 : 조선 초기에 발생하여 세종 때 성행하다가 성종 이후 소멸. 경기체가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싹튼 귀족 계층의 문학
    ② 형식 : 일정한 틀은 없으나 초기에는 중국의 고시체의 형태를 취한 것이 많고,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는 약간의 국어가 섞임. 현토체가 나타나다가,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과 같은 독자적인 정형성을 띤 신체 형식 등장. (4구 2절의 형식을 기본으로 하되 다양한 변이형이 존재함)
    ③ 내용 : 조선 건국의 천명성과 당위성을 밝히고 /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며 / 후대왕에 대한 권계의 내용을 담고 있음.
    ④ 작자 및 향유층 : 대부분 조선조의 특권층인 권신들이 작자층. 향유 계층도 소수 특권 귀족층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서민들과 유리되어 국민 문학으로 일반화되지 못했고, 그 생명도 오래 가지 못했다.
    ⑤ 문학적 한계 : 몇 개의 작품을 제외하고는 작위성이 강하고 과장과 아첨이 심하므로 문학성이 그리 높지 않다.

※ 용비어천가
① 개념 : 세종29년 왕명을 받은 정인지 등이 편찬한 악장. 125장으로 구성된 장편 서사시.
② 편찬 목적과 동기 : 목조로부터 태종까지의 여러 사적을 낱낱이 들어 국조창업의 어려움과 그 천명성을 강조하여 후왕에 대하여는 귀감을, 신하들에 대하여는 충성을, 백성들에 대하여는 교화를 촉구하고 도모하려한 것.
③ ‘용비어천가’의 의의 : 한글로 된 우리나라 최초의 문학 작품. 악장 문학. 장편 서사시.

󰊲 번역 문학

  1. 개념 : 조선 시대 국가 기관에서 운서, 불경, 문학서 등을 우리말로 변역한 문학.

  2. 의의 : 우리말 문학 발흥의 촉진제, 근대 전기 국어 연구에 귀중한 문헌적 자료, 한문학의 소개 및 대중화

※ <두시언해>의 국문학적 의의 : 우리나라 최초의 번역 시집. 한시의 모범으로 삼아 연구할 가치 지니고 있음. 국문학 및 중세 국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두시>를 언해한 동기는 두보 시의 사상적 바탕이 유교적이고 정서 또한 우국적이어서 한시의 모범이라고 생각되어 이를 백성들에게 일반화시키기 위해서이다.

󰊳 시조

  1. 개념 : 고려 중기에 발생하여 고려 말엽에 완성된 형태로. 조선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창작되고 불리는 우리 문학의 대표적인 문학 양식. 3장 6구 4음보 45자 내외의 서정시가.

  2. 발생

  • 조선 후기에 이르러 새로이 등장한 신흥 사대부들이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기존의 문학 양식인 경기체가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유교적 이념을 표출하기 위해 새로운 표현 양식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발생.
  1. 시조의 기원
    (1) 고대 민요 영향설 : '모내기 노래‘의 4음보격 2행시 행태에 1행 추가.
    (2) 향가 기원설 : 3개의 의미 단락을 가진다는 점 (10구체 형식, 시조 종장 첫 구의 처음 3자가 10구체 향가의 후렴구인 ‘아으’와 관련)
    (3) 고려 속요 기원설 : ‘정읍사’는 여음과 후렴구를 뺀 유의어만 독립시켜 결속하면 3장 6구 (→ 고려가요의 형태상 특징이 허물어지면서 단형화되어 새로운 시조형이 만들어졌다는 설이 유력)

  2. 형식
    (1) 기본 음보율 : 각장 4음보, 전체 12음보
    (2) 기본 음수율 : 3․4조 또는 4․4조 전체 45자 내외 (정장의 첫 구는 반드시 3자이어야 한다!!)
    (3) 시조의 유형
    ① 평시조 : 3장 6구 45자 내외. 4음보
    ② 연시조 : 평시조가 2수 이상 연결된 시조.
    ③ 엇시조 : 종장의 첫 구절을 제외하고 어느 한 구절이 평시조보다 길어진 형태의 시조.
    ④ 사설시조 : 두 구절 이상이 각각 그 글자 수가 10자 이상으로 파격이 되는 시조. 파격이 대개 중장에서 일어나나 3장이 다 벗어나는 경우도 있다.

  3. 시조 문학의 전개 양상
    (1) 고려 말의 시조
    ① 고려 말 시조는 특정 작가군에 의한 상층 문학의 성격 띠고 있으나 다양한 제재를 취하여 단편적인 심정을 토로했다는 데 그 한계가 있음.
    ② 내용 : 늙음에 대한 탄식과 한탄, 황음한 군주에 대한 걱정. 무인이 가진 우국충절. 혼란한 정치에 대한 원망, 쇠락해가는 고려왕조에 대한 번민 등이 어우러져 이 시기 시조의 내용적 특성을 형성하고 있음.
    ③ 이 시기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이색, 정몽주, 최영 등이 있음.

(2) 조선 전기의 시조
① 유교적 충의 사상을 노래한 시조들이 많이 지어졌다.
② 정국이 안정되고 왕조의 기이 잡힌 뒤로는 유교 사상과 함께 노장(老壯)의 무위자연(無爲自然)에 영향을 받아 자연 속에서 한가롭고 평화로운 자연미를 노래한 한정가(閑精歌), 강호가(江湖歌) 등이 지어졌다. 그러나 초기 작품은 순수한 자연을 노래한 것이라기보다는 유교적 충의 이념과 결부되어 있는 것이 대다수였다.
③ 이황의 ‘도산십이곡’, 이이의 ‘고산구곡가’를 비롯하여 학자들 간에도 시조를 짓는 사람이 속출하게 되었으며, 시조가 일반에게 널리 확산되면서 작자층도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④ 16세기에 들어와 송순, 황진이 등에 의하여 문학성이 심화되었고, 정철도 뛰어난 시조 작품을 창작하였다. 유학자들의 작품이 대부분 관념적인 경향으로 흐른 데 비하여, 황진이와 같은 기녀(妓女)들의 작품은 고독과 한에 젖은 정서를 진솔하고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⑤ 송강 정철이 백성들을 교화하기 위해 지은 ‘훈민가(訓民歌)’를 통해 평민들에게까지 시조가 통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⑥ 이 시기의 시조 작품들은 창(唱)을 위한 문학이었다. 조선 전기에는 단형 시조, 연시조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점차 단형 시조가 중첩된 연시조로 발전하였다.

※ 시조와 정치적 상황과의 관계
시조 가운데는 정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들이 많다.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개국을 둘러싸고 충절을 노래한 시조와 옛 시절을 회고하는 노래가 여럿 나왔으며, 수양 대군에 의한 계유정난을 전후해서 사육신을 비롯한 많은 지식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드러낸 시조를 읊었다. 그 시조들 가운데는 높은 문학성과 함께 널리 애송되어 온 것이 많아서, 정치적 발언이 작품의 좋은 주제가 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흥미로운 것은 그 시조들의 대부분이 ‘불의’에 맞서는 저항적 노래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 여기에 나타나는 고결한 신념과 불굴의 저항 정신은 우리 민족의 시적 전통의 한 줄기를 이루어 오늘날까지 그 맥이 이어지고 있다.

(3) 조선 후기의 시조 문학
※ 변모 양상 : 조선 후기에 와서 시조는 학자와 일반인의 교양이 되었고,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 그리하여 시조의 향유 계층이 사대부에서 평민층으로 확대되었으며, 그 내용도 관념적․유교적 내용에서 다양한 현실적 삶을 표현한 내용으로 다양해졌다. 또한 형식은 각 장 4음보의 정형성이 파괴되어 시조의 장형화를 이루었으며, 이에 따라 사설시조가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전문 가객 중심의 가단이 형성되고 시조집이 편찬되는 등 조선 후기에 이르러 시조는 국민문학으로 확고하게 자리를 잡게 되었다.

① 임진․병자 양란 직후 : 전란의 흔적을 노래한 시조들이 나타나 시대적 고뇌를 보여 주었고, 기존 체제와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이 담긴 시조가 나타나는가 하면, 우리말의 묘미를 살려 전원생활의 멋을 노래하는 이전의 전통을 계승한 시조도 나타났다.
② 윤선도의 시조 : 전원생활의 멋과 흥겨움을 아름다운 우리말로 그림같이 묘사한 주옥같은 작품들을 창작하였다. 윤선도 이후의 시조 문학은 정리기에 들어가면서 새로운 변화를 겪게 되고 평민 계층에 속한 인물들이 시조 창작의 주역을 맡게 되었다.

작품
제재
주제
견회요
(전5수)
유배지에서의 정회
연군의 정과 부모에 대한 그리움
만흥
(전6수)
자연을 벗하는 생활
자연에 묻혀 사는 즐거움과 임금의 은혜
어부사시사
(전40수)
어부의 생활
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살아가는 여유와 흥취
오우가
(전6수)
오우(五友)
오우(五友)인 물, 돌, 소나무, 대나무, 달의 덕을 기림

③ 사설시조의 등장 : 조선 후기 산문 정신의 영향으로, 평시조의 정형성에서 탈피한 엇시조와 사설시조가 등장하였는데 사설시조는 대부분 작가와 창작 연대를 알 수 없다. 사설시조는 현실을 풍자하거나 서민들의 생활 감정을 진솔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산문화되면서 길이가 늘어났다. 사설시조는 당시 사회 현실을 반영하고 있으며, 세태에 대한 풍자와 서민들의 소박한 생활 감정이 솔직하게 표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가치가 크다.

조선 후기 사설시조의 특징
내용면
형식면
․서민적, 구체적
․강렬한 애정
․재담과 욕설
․거리낌 없는 사회비판
․사설조로 길어짐.
․가사투, 민요풍
․대화체가 많이 나타남.
․새로운 종장 문구 개척

④ 전문 가객의 등장 : 전문 가객은 18세기 무렵부터 등장하였으며, 신분은 대체로 중인보다 낮은 서리 정도로 시조를 가곡의 곡조에 얹어서 불렀다. 종전에 읊조리는 방식으로 향유되었던 시조가 이들에 의해 창곡(唱曲) 위주로 바뀌었으며, 이들은 시조를 창작하고 부르는 한편 가단을 형성하고, 시조집을 편찬하여 조선 후기 시조 부흥에 기여하였다.

󰊴 가사

  1. 개념 : 4음보 연속체로 된 율격이 우리 민족의 호흡에 자연스럽게 일치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이고 유교적, 교훈적인 이념을 표현하는 데 알맞은 형태를 지니고 있어서 시조와 더불어 조선의 시가 문학을 대표하는 국문 시가로 일컬어진다. 가사의 형식은 운문문학에 속하지만, 그 내용은 개인적인 정서의 표현만이 아니라 교훈적인 훈계나 여행의 견문과 감상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시가 문학에서 산문 문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장르라고 평가되기도 한다. 조선 전기에는 주로 양반 사대부들에 의해 지어졌지만, 조선 후기에는 작자층이 확대되어 서민과 양반 사대부 계층의 부녀자들이 가사 창작에 참여하여 그들의 애환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2. 발생 배경

  • 왕조 창업의 시기에 크게 요구되었던 악장의 기능은 조선이 안정기로 접어들면서 거의 사라지고, 개인의 서정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더욱 강해졌다. 그 가운데 시조가 확대되고 가사가 크게 발전하게 되었다. 가사는 경기체가가 쇠퇴하면서 발생하였는데,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이념과 정서를 시조보다는 좀더 긴 형식 속에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해 고안해 낸 형식이다.
  1. 특징
    ① 형식 : 가사는 3(4)․4조의 연속체로, 4음보로 된 운문문학이다. 행수에는 제한이 없다. 마지막 행의 형식은 대체로 시조의 종장과 일치하는데(3. 5. 4. 3), 시조의 종장 형식을 따르는 가사 형식을 정격 가사(조선 전기 多)라 하고, 그렇지 않은 것을 변격 가사(조선 후기 多)라 한다. 가사의 형태는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로서, 흔히 운문 형식에 산문적인 내용을 실었다고 한다.
    ② 내용 : 가사는 임금에 대한 은총이나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심정을 읊은 서정적인 것, 역사, 교훈, 기행 등 서사적 성격의 특성을 보이는 내용이 많다. 내방 가사는 규중 부녀자들의 부덕, 애환 등 부녀자들의 생활과 심정을 노래하였다.

※ 조선 전기 가사 주요 작품
•자연 친화와 안빈낙도 및 군자의 덕을 노래한 작품

작품
작가
내용
서왕가
나옹
화상
세상일에 집착하는 중생에게 불교에의 귀의를 권장.
상춘곡
(賞春曲)
정극인
자연에 파묻힌 생활 속에서 봄날의 경치를 예찬한 작품으로 안빈낙도의 삶을 노래함.
(최초의 가사 작품, 은일가사)
만분가
조위
작가가 무오사화로 전라남도 순천에 유배되었을 때의 생활을 노래한 유배가사.
면앙정가
(俛仰亭歌)
송순
작가가 만년에 고향인 전라 남도 담양에 면앙정이라는 정자를 짓고 은거하면서 주위 자연의 아름다움과 자신의 심정을 읊음.
(은일가사)
관서별곡
(關西別曲)
백광흥
평안도 지방의 자연 풍물을 두루 돌아보고 그 아름다움을 읊음 작품 (기행가사)
환산별곡
(還山別曲)
이황
세속을 근심하고 전원에서 유유자적한 생활을 노래
성산별곡
(星山別曲)
정철
전라 남도 암양군 남면 지곡리에 있는 성산의 풍경과 서하당과 식영정을 중심으로 한 사계절의 변화를 읊으면서 그 누각을 세운 김성원의 풍류를 칭송함
사미인곡
(思美人曲)
작가가 관직에서 밀려나 4년 동안 전라 남도 창평에서 지내면서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간곡하게 읊음. (유배가사)
속미인곡
(續美人曲)
작가가 참소를 받아 창평에 내려가 있으면서 지은 것으로,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두 여인의 대화 형식으로 표현함. (유배가사)
관동별곡
(關東別曲)
작가가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관동 팔경을 돌아보면서 선정을 베풀고자 하는 심정을 읊음. (기행가사)

※ 경기체가와 가사

경기체가
가사
공통점
교술 장르, 사물의 세계를 객관적으로 표현
차이점
3음보이며 후렴이 있는 분연체
4음보 연속체

  1. 가사 문학의 변모
    (1) 조선 후기의 가사 문학의 변모 양상 및 특징
  • 조선 후기의 가사는 조선 전기의 가사 및 같은 시기의 시조에 비해 예술성이 다소 떨어지나, 문학이 당대의 현실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점을 잘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가사는 특히 산문 정신과 서민 의식의 성장이라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의 영향을 받아 나름대로 많은 변모를 겪게 된다. 조선 전기의 정격 가사에 비해 형식이 자유로워진 변격 가사가 나타났으며, 거의 수필에 가까운 장편 가사가 등장하게 되었고, 민요와 결합하여 잡가라는 새로운 형태를 낳기도 하였다.

① 조선 후기 초반 : 시조 문학이 만개한 데 비해, 가사는 그 기세가 꺾여 조선 전기와 같은 성황을 이루지 못했다. 그러나 박인로의 가사는 특출해서 ‘누항사(陋巷詞)’, ‘선상탄(船上嘆)’ 등은 그를 정철에 이어 가사 문학의 제2인자로 손꼽히게 하는 데 손색이 없다.
② 숙종 이후 : 이 시기의 가사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의 확대(기행가사, 유배가사), 여성 및 평민 작자층의 성장(내방가사, 평민가사), 주제와 표현 양식의 다변화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시기의 가사는 실생활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려는 추세를 반영하여 이전의 가사와 달라진 모습을 보여 주는데, 가장 큰 변화는 서사적 장편 가사가 많이 창작되면서 산문화의 경향이 뚜렷해졌다는 것이다.
③ 영․정조 이후 : 일반 서민들도 가사를 지음으로써 해학적인 표현으로 희극미를 창출하는가 하면, 현실의 문제점을 풍자하는 비판 정신을 발휘하여 이전의 양반 가사의 미의식을 극복하였다. 이 시기에는 영남의 부녀자 계층을 중심으로 하여 내방가사가 다수 창작되었다. 내방가사는 규방의 부녀자들에 의해 지어지고 또 전해진 노래들의 총칭으로 작품 수가 매우 많다. 시집살이의 괴로움, 현모양처의 도리 등 부녀자들의 생활과 감정을 노래한 것이 대부분이다.

※ 조선 후기 가사 주요 작품

작품
작가
내용
누항사
(陋巷詞)
박인로
두메 산골에 은거하면서 자연을 벗삼아 빈이무원(貧而無怨)하는 생활을 노래함.
(은일가사)
선상탄
(船上嘆)
박인로
임진왜란 후 통주사로 뽑혀 부산에서 수군 생활을 하면서 전쟁의 비애와 평화에 대한 갈망을 노래함. (전쟁가사)
고공가
(雇工歌)
허전
당시 국정의 부패와 무능을 임금의 처지에서 개탄하고, 부지런하고 검소하기를 노래.
고공답주인가
(雇工答主人歌)
이원일
작가가 영의정의 처지에서 당파싸움을 일삼는 신하를 꾸짖고 임금에게 간하려는 목적으로 지음.
태평사
(太平詞)
박인로
전란의 참상과 종전 후 태평성대를 맞이하게 된 기쁨 및 성은에 보답하여 길이 이 태평을 즐기기를 노래.
일동장유가
(日東壯遊歌)
김인겸
작가가 사신으로 일본에 다녀와서 그 견문을 기록한 8,000여 구의 장편 가사
(기행가사)
농가
월령가
(農家月令歌)
정학유
권농(勸農)을 주제로 하여 농촌의 연중 행사와 풍경을 열두 달의 순서에 맞추어 노래함. (월령체 가사)
용부가
(庸婦歌)
미상
못난 여인이 시집살이를 하는 동안 저지르는 행동을 풍자적으로 노래함.
(평민가사)
연행가
(燕行歌)
홍순학
작가가 서장관으로 청나라 연경(燕京)에 갔다가 귀국하기까지의 견문을 적은 작품 (기행가사)
상사별곡
(相思別曲)
미상
남녀 사이의 순수한 연정을 바탕으로 독수공방의 외로움과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함. (애정가사)
우부가
(愚夫歌)
미상
예의와 염치를 모르고 못된 짓을 하는 한량패를 희화화하여 노래함.

※ 전기가사와 후기가사 비교

구분
전기가사
후기가사
시기
가사문학 발생 이후 ~
임병양란 이전
임병양란 이후 17세기 ~19세기 말
작가
양반 사대부 계층
(호남지역중심, 상호간의 작품에 영향)
작자층의 다양화
(사대부 및 중인 이하 서민층, 승려, 귀화인, 여성작가 등)
형식과

율격
․후기 가사에 비해 단형
․3.4조 단장의 상승리듬
․음보율- 1행 4음보 원칙
(cf.편구현상- 1행 4음보 에서 벗어남. 시상전환 의 필요가 있을 때 많 이 보임)
․정격가사의 경우 시조 종장과 같은 형태.

․전기 가사에 비해 장형
․4.4조 장장의 수평리듬
․율격의 파격 : 1행 6음보, 1행 2.3음보
․서두에 산문적 사설 삽입 (산문화 경향)
․장형가사 등장 (일동장유가)
․분장형 가사 (농가월령가)
․개화기 가사의 가창화 (4.4 조 후렴구)
주제
고려말 가사발생 초기

  • 종교적 색채 짙음, 교 훈적인 작품 多
    다양한 주제와 소재로 확대
  • 전쟁가사, 정치․사회현실 비판가사, 실용성을 강조하 는 가사, 애정가사, 개화가 사, 한일 의병가사, 내방가 사 등 다양화
    조선 조에서 다양화
  • 은일, 유배, 기행, 강호 한정 가사
    특징
    정격가사 / 양반가사
    관념적 / 서정적
    변격가사 / 평민가사
    현실적 / 서사적

󰊵 민요․잡가

  1. 개념 : 민요는 서민들의 일상생활에 있어 노동․의식․놀이 등을 위해 불러 온 구전 가요이다. 민요는 문학이면서 음악이며, 서민들의 정서와 삶의 모습이 함축되어 있다.

  2. 전개 양상

  • 민요에는 서민들의 일상적인 삶이 실감 나게 표출되어 있다. 일의 고달픔이나 보람, 삶의 애환, 남녀의 애틋한 사랑, 윤리 의식, 놀이의 표현 등이 그것이다. 조선 시대 후기에는 삶의 고달픔을 탄식하고 이를 나름대로 견디어 나가는 생의 건강함이 잘 드러나 있는 민요들이 많이 있는데, 이는 시대적 현실을 수용하는 평민들의 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민요는 스스로 완결성을 지니기도 하지만, 다른 양식에 이용되거나 다른 양식과 결합되어 독특한 양식을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1. 특징
    ① 구전성(口傳性) ② 서정성(抒情性) ③ 서민성(庶民性)
    ④ 형식성(形式性) : 노래로 불려지기에 적합하도록 율격이나 형식이 다듬어져 있으며, 그 율격은 일정한 정형성을 띠는 것이 보통이다.

  2. 갈래와 작품
    (1) 기능에 따른 분류
    ① 기능요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 (놀이에 박자를 맞 추면서 부르는 노래)
    ② 비기능요 (단지 노래의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 부르 는 민요)

(2) 가창 방식에 따른 분류
① 선후창 : 한 사람이 앞 소리를 선창하고 다른 사람이 후렴을 따라 부르는 방식의 민요
② 교환창 : 노래말을 서로 나누어 돌아가면서 부르는 방식의 민요
③ 독창 또는 제창 : 한 사람이 또는 여러 사람이 계속 이어 부르는 방식의 민요

(3) 창자에 따른 분류 : 남요(男謠), 부요(婦謠), 동요(童謠)

종류
작품
기능요
노동요
‘논매기 노래’, ‘타작 노래’, ‘해녀 노래’ 등
의식요
‘지신밟기 노래’, ‘상여 노래’, ‘달구질 노래’ 등
유희요
‘강강술래’, ‘널뛰기 노래’, ‘줄다리기 노래’ 등
비기능요
‘정선 아리랑’, ‘밀양 아리랑’, ‘시집살이 노래’ 등

Sort:  

@jed1995, I gave you an upvote on your first post! Please give me a follow and I will give you a follow in return!

Please also take a moment to read this post regarding bad behavior on Steemit.

Coin Marketplace

STEEM 0.30
TRX 0.11
JST 0.033
BTC 64223.84
ETH 3158.34
USDT 1.00
SBD 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