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40514] 버퍼형 ETF

버퍼형 ETF

증시가 출렁이자 버퍼형 ETF가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손실보전과 수익률 천장의 장단점이 있는 버퍼형ETF에 대해 잠깐 살펴보고자 합니다.


수익률 천장 있는 대신 손실 보전,
증시 출렁이자 버퍼형 ETF 뜬다
4월 버퍼형 ETF 순자산 50조
불확실성 커지자 뭉칫돈 몰려
옵션상품에 투자해 손실 방어
원금 100% 보장 상품도 등장해
상승폭 제한·높은 수수료 단점

우선 장점은 투자손실을 일정부분 보전해 준다는데에 있는 것 같습니다.
투자자들이 가장 혹하기 쉬운 당근책이라 할 수 있겠네요.
다만 최대 수익률은 특정 수익률로 제한되는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앞서 다양한 옵션에 대한 이해를 완벽히 하고 접근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투자 손실을 100% 보전해주는 ETF가 연이어 출시되면서 상품 라인업이 다양해지고 있다. 지난 1일 상장된 ‘칼라모스 S&P500 구조화 방어 대체’(CPSM)는 만기인 내년 4월 30일까지 보유하면 원금을 100% 보장해준다. 대신 이 기간 수익률은 최대 9.65%로 제한된다. 지난해 7월 처음으로 손실 100% 보전 ETF ‘이노베이션 에쿼티 디파인드 프로텍션’(TJUL)이 상장된 뒤 이 같은 원금보장형 상품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
미국 자산운용사 크레인셰어즈는 중국 정보기술(IT) 종목에 투자하는 버퍼형 ETF인 ‘크레인셰어즈 100% KWEB 디파인드 아웃컴’(KPRO)을 내놨다. 이 상품 투자자는 2년간 원금을 100% 보장받고 최대 22.69%까지 수익을 낼 수 있다. 최근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낮은 중국 증시에 투자하고 싶지만 위험을 피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는 평가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역시 복잡한 구조에 만기가 존재한다고 하는 점이 되겠네요.
또한 복잡한 구조로 수수료가 높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듯 합니다.

일반 ETF와 달리 만기가 있는 등 구조가 복잡하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버퍼형 ETF는 보통 1~2년 만기가 있고 이 기간에 보유해야 손실 보전 한도를 온전하게 챙길 수 있다. 매수 시기에 따라 수익률 상한과 손실 보전 비율이 달라진다.
높은 수수료도 단점으로 꼽힌다. 버퍼형 ETF의 총보수는 연 0.8% 수준으로 미국 대표지수형 ETF(0.09% 수준)보다 높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원금을 지켜야 하는 은퇴자나 변동성 장세에서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고 말했다.

지난 1년간의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주황색 그래프인 PJAN이 그나마 16.9%의 양호한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버퍼형 ETF의 수익률 특성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개별 포트폴리오의 구성상 특징이 있는지는 개별종목들을 상세히 살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시장이 변동성이 크고 불안정할 때는 버퍼형 ETF의 수요또한 같이 증가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며, 시장 상황에 따라 구성할 수 있는 하나의 옵션으로 고려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도 활기찬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935539113806257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upex with a 4.18% upvote. We invite you to continue producing quality content and join our Discord community here. Keep up the good work! #upex

한국엔 없겠죠?

네; 아직 국내형 상품은 없는 것 같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8
TRX 0.11
JST 0.030
BTC 67597.54
ETH 3772.68
USDT 1.00
SBD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