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일기] 저스트. 킵. 바잉


이미지 출처 : 네이버 글감 검색

저자 : 닉 매기울리

데이터 과학자이자 자산 관리 전문가.

리트홀츠 웰스 매니지먼트(Ritholtz Wealth Management)의 최고 운영 책임자.

블로그(OfDollarsAndData.com)와 트위터(@dollarsanddata)를 운영하며 저축과 투자에 대한 정보와 노하우, 더불어 데이터와 개인 금융의 교차점에 초점을 맞춘 칼럼을 쓰고 있다.




당신을 부자로 만들어 줄 3개의 단어

저스트. 킵. 바잉




1부는 저축, 2부는 투자로 구성되어 있다.

평이 좋아서 상당히 기대?하고 읽은 책인데, 책을 읽어보니, 주관적인 생각으로는 좀 평이한 수준이다.

저축, 투자, 재테크 등 관련 서적을 많이 읽어 본 사람에게는 좀 아쉬울 수 있겠지만, 투자서를 많이 접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임팩트가 있을 수도 있겠다.




저자가 말하는 이 책의 핵심 주제는,

'가능하면 빨리 투자를 시작하라. 그리고 가능하면 자주 투자하라.'




책에 기술된 저축 방식도 그렇고, 투자 방식에 있어서도 공감가지 않는 부분이 좀 있다.

특히 투자 방식에서, 각종 자료와 근거를 제시하며 투자금을 시분할 방식으로 나누어 투자하는(average-in) 것보다 한 번에 투자하는 방식(buy now)이 옳음을 강조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선뜻 받아들여지지가 않았다.

내용을 좀 더 읽다보니, 오해가 있었다.

  • 바이나우buy now : 한 번에 모든 돈을 투자하는 행위. 얼마나 투자하느냐가 아니라 당장에 가진 돈 전부를 투자하는 데 방점을 찍는다.

  • 에버리지인average-in : 가진 돈을 오랜 시간에 걸쳐 꾸준히 투자하는 행위. 방식은 제각각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정해진 기간에 규칙적으로 같은 금액의 돈을 투자하는 것.

투자금 100억이 있으면 어느 시기든 한 번에 100억치 매수하는 '바이나우'가 10억씩 나누든 1억씩 나누든 오랜 기간 나누어서 매수하는 '에버리지인'보다 결과는 좋다는 것이다.

저자가 말한, '에버리지인average-in'을 '평균단가매입법dca'으로 오해했다.

바이더딥을 위해 매달 현금을 모으다가 특정 시기 한 방에 '바이더딥buy the dip' 하는 것보다는 매달 조금씩이라도 지속해서 매수하는 '평균단가매입법dca'이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보인다는 데이터를 제시한다.

미묘한 차이다.

이렇게 정리하면 되지 않을까.

Average-in 보다는 Buy Now가 좋고, Buy Now 보다는 DCA가 좋다.





아래부터는 책을 읽으며 기록해 둔 본문의 문장들 중 일부



결국에 도달한 생각은 사람마다 자신에게 맞는 투자법이 있고 그것을 고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

거창한 방법보다는 단순하게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이다.




저축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지, 아니면 투자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지, 그 기준은 각자의 재정 상태이다.




가난한 사람은 저축을 하고, 부유한 사람은 투자를 한다.

각자의 재정 상태에 따라 집중해야 하는 대상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가난한 사람은 저축을 해야 하고, 부유한 사람은 투자를 해야 한다.




가난한 사람들이 빈곤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재능이 없어서도 동기부여가 부족해서도 아니다.

살아남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할 수밖에 없는 저임금 노동 때문이다.

가난한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빈곤의 덫'에 빠져 있다.

돈이 없다 보니 고소득 노동에 종사하기 위한 교육을 받거나 자본을 얻을 기회가 없다.

재테크와 관련한 가장 큰 거짓말은 "씀씀이만 줄이면 부자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이것이 거짓말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바로 '빈곤의 덫' 때문이다.




부자가 되는 가장 확실하면서도 한결같은 방법은 일단 소득을 늘리는 것, 그리고 그다음에 수익창출자산에 꾸준히 투자하는 것이다.




최종 목적은 직접 소유가 되어야 한다.

즉 오너십, 어떤 사업이나 자산을 '소유'하는 것이 돼야 한다.

그러니 여러분은 추가 소득을 이용해 수익창출자산을 계속 사들여야 한다.




결국 자신이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자기 삶에서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내는 것은 각자의 몫이다.

여러분의 마음 속에 품은 삶의 가치와 목적을 알아내고 그에 따라 돈을 쓰면 된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꿈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꿈대로 살게 될 것이다.




은퇴 후 3년이 지나자 지겨워 미칠 것 같았다.

일은 돈 때문에만 하는 게 아니다.

사람들은 은퇴하고 나서야 비로소 이 사실을 깨닫는다. - 케빈 오리어리




돈은 많은 문제를 해결해줄 수는 있지만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지만 돈이란 여러분이 원하는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정작 가장 어려운 것은 자신이 어떤 삶을 원하는지 알아내는 일이다.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세 가지

  • 은퇴자금 마련하기

  •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 인적자본을 금융자산으로 전환하기




투자만이 시간에 맞서서 줄어드는 인적자본을 수익을 창출하는 금융자산으로 전환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

본질적으로 투자는 여러분이 일하지 않을 때조차 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돈이 여러분을 위해 계속 일하도록 함으로써 금융자산을 축적하는 과정이다.




투자는 어떤 패를 손에 쥐느냐가 아니라, 그 패로 어떤 게임을 하느냐의 문제다.

얼마나 어디에 저축할지, 얼마나 어디에 투자할지,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조정하여 위기 상황에 대응할지, 우리는 갖가지 카드를 선택할 수 있고 또 사용할 수 있다.

결국 승부는 그 카드를 가지고 어떻게 게임을 전개하느냐의 문제이다.




때로는 아무런 리스크도 감수하지 않으려는 태도가 가장 커다란 리스크가 될 수 있다.

자산을 크게 불리고 싶다면 시장 변동성과 더불어 주기적인 하락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는 장기투자에서 성공하고 싶다면 당연히 치러야 하는 대가이다.

문제는 어느 정도까지 받아들일 것인가, 그리고 그 대가는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중요한 사실만 잊지 말자.

우리가 돈을 버는 목적은 부자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다.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다.

무엇도 이 명제보다 앞설 수는 없다.



2024.05.17.

Sort:  

This post has been upvoted by @italygame witness curation trail


If you like our work and want to support us, please consider to approve our witness




CLICK HERE 👇

Come and visit Italy Community



Hi @lucky2015,
my name is @ilnegro and I voted your post using steem-fanbase.com.

Come and visit Italy Community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9.566664691314521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

본질적으로 투자는 여러분이 일하지 않을 때조차 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돈이 여러분을 위해 계속 일하도록 함으로써 금융자산을 축적하는 과정이다.

때로는 아무런 리스크도 감수하지 않으려는 태도가 가장 커다란 리스크가 될 수 있다.
자산을 크게 불리고 싶다면 시장 변동성과 더불어 주기적인 하락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는 장기투자에서 성공하고 싶다면 당연히 치러야 하는 대가이다.

이 내용 괜찮네요^^

자산을 크게 불리고 싶다면, 주기적인 하락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이 특히 괜찮았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67651.34
ETH 3798.05
USDT 1.00
SBD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