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개미의 코인 시장 리딩 #3

in #bitcoin7 years ago (edited)

어제에 이어 마켓 리딩을 이어가 보겠다.

우선 고점 대비 현재 얼마나 빠졌나 보자.
6월 20일 최고점은 불과 20여 일 전이다, 당시 Total Market Cap.은 대략 USD 1,165억 달러이다.

6월 20일 당시 Market Dominance는 Bitcoin 37.7% Ethereum 30.05% 나머지 Altcoin 32.25%를 구성하고 있다.

마켓 캡 페이지의 차트는 나 같은 개미가 보기 너무 어렵다. 그래서 다시 그려 봤다.

현재 점유율 상황이다.

그럼 캡 점유율 변화만 보면 시장이 얼마나 축소됐는지 감을 잡기가 어렵다.


많지는 않겠지만 6월 20일 구성한 포트폴리오가 이더리움과 알트코인 위주로 된 투자자들은 최대 80% 손실을 보고 있지 않을까 예상된다. 나중에 반등이 오고 매매 시에 6월 20일 전 고점은 매매시 중요한 타이밍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아침부터 전체 마켓 캡 24HR 거래량이 50억 달러 선에서 점점 줄어들어 거의 40억 달러 까지 왔다, 이 거래량의 하향세는 조금 더 지속되지 않을까 한다. 거래량이 줄었다는 말은 달러와 같은 현금 자산으로의 이동과 이더리움과 알트코인에서 손절을 한 투자자들의 자금 이동이 거의 끝나고 현재 이더리움과 알트에서 최대 80%까지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남아서 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다시 회복한 날을 기다리며 강제 홀드를 하고 있지 않나 생각된다.

그럼 이제 어떤 일이 벌어질까?
개인적으로 본 게임은 지금부터라도 생각한다. 그나마 현금 자산으로 유출되는 속도 보다 이더리움과 알트에서 비트코인으로 유입 속도의 차이로 비트코인의 가격이 버텨줬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거래량이 하락이 지속이 된다면 비트코인 가격도 따라서 내려 갈 것이라 예측한다.

https://steemit.com/bitcoin/@onlimono/2017-07-12-issues-or-2017-07-12 onlimono 님의 글에서처럼 Segwit2x의 Testnet 실험은 Chain split으로 실패한 것으로 보이고 이런 상황에서 7월 14일 완벽한 Code가 나올 것을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앞으로 불확실 성은 점점 커질 수밖에 없으므로 시장 반등의 여지는 없어 보인다.

개미의 입장에서는 이미 코인시장에도 세력이 들어와 있다고 믿는다, 그렇지 않고선 골드만 삭스나 여타의 큰 투자회사들이 코인 시장을 분석을 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거대 자본들은 분명 이러한 빅 이벤트를 놓칠리가 없다, 위기를 기회로 이용하여 개미들의 고혈을 짜먹으려 할 것이고, 300억 달러 밖에 안 남은 캡에서도 더 나올것이 없다는 것을 확인 할때 까지 분명 더 쥐어짤 것이다

평범한 아저씨의 시장 리딩입니다. 가볍게 봐 주세요.

Sort:  

물린 개미로서 슬프네요.
시나리오 별 분할 매수 전략도 포스팅 해 주시면 좋겠네요.

날카로운 분석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1
BTC 68396.79
ETH 3797.89
USDT 1.00
SBD 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