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18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실기 시험 후기

in #certification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Khosla입니다. 이제 조금씩 저의 개인적인 일상, 암호화폐에 대한 의견,
여러 생각들을 스팀잇에 게재하려고 하는데요.

먼저 지난 4월 15일에 있었던 정보처리기사(실기) 시험을 마치고 지금까지 저의 공부방법과 시험 후기에 대해서 글을 간단하게 써보려고 합니다. (저의 글이 이 시험을 준비하는 누군가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new_KakaoTalk_20180508_225805668.jpg

사실 정보처리기사는 17년을 기준으로 그 이전까지 경쟁력 있는 자격증으로 취급하기가 많이 애매했습니다.정보처리기사에대한 대부분의 인식이 '취득하기 아주 쉽다.', '대부분 가지고 있어 변별력이 없다' 였기 때문에 시간을 투자해서 굳이 딸 필요가 있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진로에 대한 새로운 생각과 17년부터 실기의 난이도가 어려워짐에따라 앞으로 경쟁력 있는 자격증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취득을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추가로 IT관련 기본상식도 채우는 것도 목표였습니다)

18년 2월부터 공부를 시작했고 필기(3월 4일)와 실기(4월 15일) 모두 한달씩 준비했습니다. (실기는 중간고사 시험기간과 겹쳐서 애먹었습니다...)

우선 1)필기시험에 대해서 설명하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전자계산기 구조,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공학, 데이터 통신으로 총 5가지 사지선다형 객관식 각 분야 20문제, 총 100문제가 출제되며 합격 필요 점수는 60점, 과락은 각 분야 40점 미만(7문제 이하)입니다.

처음에 기본적 상식을 쌓는다는 생각으로 이기적 기본서를 여러 번 정독하고, 책에서 중요하다고 언급하는 부분은 필기와 암기로 많은 시간을 소요했었습니다. 시험을 치기 2주 전부터 교재 내의 시험 예상문제와 기출문제를 집중적으로 풀었는데, 역시 문제 푸는 것만큼 효율적인 공부방법이 없던 것 같습니다. (특히 객관식 시험에서는)

과목별 공부는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공학은 중요한 부분만 암기하고 기출문제 풀이를 이어서 한다면 60점 이상은 크게 어려움은 없을 것같은데, 전자계산기 구조, 데이터 통신은 전공자뿐만 아니라 비전공자도 생소한 부분이 많고 헷갈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확실하게 암기한 후에 문제풀이를 통해서 세부내용과 놓친 부분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다소 어려운 2)실기시험은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개발(알고리즘), DB설계 및 구축관리(데이터베이스),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 수행, 신기술 동향&전산영어로 과목이 구성되어있고 주관식, 전체 60점이상 받아야 합격이 됩니다. 즉 과목별 과락 기준이 없기 때문에 과목별 점수에 연연하지 않아도 됩니다.

필기시험에는 이기적 기본서를 사용했는데, 실기에는 시나공을 선택했습니다. 실기는 주관식이기 때문에 세부적으로 서술되어있다는 평이 많은 시나공을 써야 이해와 더불어 암기도 더 효율적으로 가능할 것 같았습니다.
공부방법은 기본서를 3번 정독하고 문제풀이를 반복했습니다.(주로 데이터베이스&알고리즘)
신기술 동향과 전산용어는 문제풀이가 크게 의미가 없을 것이라 생각되어 교재에 나와있는 용어를 반복암기하고 시나공에서 시험 일주일전에 제공해주는 시험대비 용어를 따로 외우기도 하였습니다.(아쉽게도 시험에 단 하나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시험을 마친 지금(가채점후 예상점수 70~85) 생각해보면 기본서만 충실해도 충분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기본서에도 없는 신기술용어가 출제된 적이 있다는 소문때문에 이것저것 많이 암기했는데... 시간낭비였던것같습니다.

확실히 실기는 서술형과 알고리즘 때문에 필기보다는 난이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문제유형에 맞춰 각기 다른방법으로 효율적으로 공부한다면 짧은 시간에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빨리 결과가 나왔으면 좋겠어요...ㅎ)

Sort:  

기본서 내용 확실히 해도 합격선은 넘겼었던 것 같네요. 신기술 문제는 트렌드 쫓아가고 있었으면 적당히 찍기 좋아서.. 한참 전 얘기기는 하지만요 ^^;

#kr 태그를 달지 않으시면 한국어 사용자에게 글이 잘 노출되지 않습니다. 스팀잇에 익숙해지실 때까지 #kr-newbie 태그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kr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태그 목록은 @myfan 님의 태그 정리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지스팀잇 가이드북 을 보시면 앞으로 스팀잇 활동하시는데 도움이 되실겁니다.

처음 해보는 거라 많이 미숙하네요! ㅎㅎ 정말 감사합니다 !

Congratulations @shsfse!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You got a First Vote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Upvote this notification to help all Steemit users. Learn why here!

Coin Marketplace

STEEM 0.32
TRX 0.11
JST 0.031
BTC 67705.30
ETH 3767.13
USDT 1.00
SBD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