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 심층 분석] (1) Steemit은 어떤 서비스인가요?

in #coinkorea7 years ago (edited)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글 맨 하단에 세 줄 요약 컨텐츠를 추가했습니다.

길지만 꼭 읽어보시고 UPVOTE 부탁드릴게요!

0.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과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전기전자공학과 전산학을 복수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저는 블록체인을 비롯한 신기술과, 이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일으킬 변화에 관심이 있습니다.

이 칼럼에서는 유저들에게 보상이 지급되어 커뮤니티 Steemit의 성장을 촉진하는 암호화폐 STEEM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성자 : 이준형 (CoinPresso 필진 / [email protected])

작성자 : 정동건 (CoinPresso 대표 / [email protected])

1. 커뮤니티 활동으로 돈을 번다고?

여러분은 활발히 활동하시는 인터넷 커뮤니티가 있나요?

글을 작성하거나, 다른 사람이 작성한 글에 댓글을 달거나, 추천과 비추천을 하는 등의 행동은 모두 그 커뮤니티의 성장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이런 행동을 통해 유저에게 직접적으로 돌아오는 이득은 전혀 없습니다. 

A. Reddit의 아이디어

인터넷 커뮤니티 Reddit은 2014년, 이런 가설을 세웠습니다.

 ‘만약 게시물을 작성하거나, 추천/비추천을 하는 유저들에게 레딧 사의 지분을 나눠준다면 우리 플랫폼이 발전하지 않을까?’ 

커뮤니티에 기여한 유저들에게 금전적인 보상을 줌으로서, 커뮤니티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 Reddit의 아이디어였고, 결국 매달 5억 4천만명이 접속하는, 방문자수 세계 9위의 대형 커뮤니티로 자리잡았습니다.

B. 블록체인을 활용한 커뮤니티, Steemit

살펴볼 가상화폐 스팀(STEEM)은 바로 이 전제에서 출발합니다. 

Steemit은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 Reddit과 비슷한 보상체계를 구현합니다.

STEEM이 다른 암호화폐와 차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마이닝(mining)과 같은 ‘객관적’ 작업증명(Proof of Work)가 아닌, 유저들이 가치 있다고 느낀 컨텐츠에 대한 보상을 주는 ‘주관적’ 작업증명 방식을 따르고 있다는 점입니다. 

(사실 PoW와는 기술적 차이가 있으나 독자의 이해를 편하게 하기 위해 임의로 작성했습니다)

컨텐츠 작성자를 금전적으로 후원하는 기존 커뮤니티와 차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후원금이 유저들의 계좌에서 나오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블록체인 위에서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죠.

2. Steemit의 보상 시스템

Steemit의 유저들은 개인이 '좋다'고 생각하는 컨텐츠에 추천을 합니다.

이 주관적 판단 기준은 STEEM을 보유한 유저들이 자신에게 최대의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커뮤니티의 발전 방향성일 것입니다.

이렇게 받은 추천을 기반으로 작성자에게 돌아갈 보상을 정합니다.

A. 어뷰징 방지

추천한 사람 수에 비례해서 보상을 주면 될까요?

이렇게 하면 가짜 계정을 잔뜩 만들어서 몰표를 통해 부당 이득을 챙길 수 있겠죠.

따라서 스팀은 유저마다 추천의 ‘세기’에 차이를 둡니다.

보유하고 있는 스팀이 많을수록, 행사하는 추천의 영향력이 더 커진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스팀을 잔뜩 매수해서 몰표를 주고, 이득을 챙긴 다음에 다시 전부 팔아버리면 될까요?

스팀은 이런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장기 투자’된 상태의 스팀, 즉 SP(Steem Power)만이 영향력에 반영되도록 합니다.

영향력이 높은 유저들은 장기 투자된 스팀을 다량 보유한 유저들입니다.

때문에 장기적으로 커뮤니티에 이득이 되는 방향으로 추천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겠죠. 

소위 말하는 ‘뻘글’에 추천을 주지 않을 것이란 뜻입니다. 

마치 회사의 지분을 들고 있는 사람들이 회사에 해가 되지 않는 의결권을 행사하는 것과 유사한 시스템입니다.

3. Steemit에 장기 투자하기

시스템 유지를 위해 스팀 블록체인은 세 가지의 가상화폐를 기반으로 움직입니다.

STEEM(Steem), SP(Steem Power), SBD(Steem Dollar)가 그것이죠.

STEEM과 SP는 커뮤니티의 흥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스팀 네트워크의 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STEEM은 거래가 유동적인 대신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에 노출되어 있고, SP는 이 인플레이션에서 보호받지만 13주 이상의 장기 투자가 강제됩니다.

(Whitepaper에는 104주로 기재되어 있으나 실제 사용환경에서 수정되었습니다)

따라서 STEEM 차트의 기술적 움직임을 긍정적으로 보는 중단기 투자자라면 STEEM을 보유하면 됩니다.

Steemit의 장기적 발전을 믿고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은 장기 투자자라면 STEEM을 구매해 SP의 형태로 변환해서 보유하게 되죠.

SBD는 스팀 네트워크에서 발행한 채권으로 볼 수 있으며, 일정량의 이자율을 보장받지만 STEEM이나 SP처럼 커뮤니티의 성장에서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은 없습니다. 

1달러와 유사한 가치를 유지하는 토큰이라고 간단하게 설명하죠.

다음 칼럼에서는 STEEM, SP, SBD가 각각 어떤 디지털 토큰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4. 세 줄 요약

1. 인터넷 커뮤니티의 발전을 위해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Reddit과 같은 시도가 있었다.

2. Steemit은 블록체인 기술을 접합해 커뮤니티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한다.

3. 건전한 커뮤니티 조성을 위해 STEEM, SP, SBD 세 가지 다른 기능의 토큰을 활용한다.

Sort:  

정성들여 작성하신 글 잘 읽었습니다. 레딧이 지분을 나누어주는 시스템이었군요. 흥미롭네요.

좋습니다 ^^👍👍

Congratulations @coinpressokr!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total payout received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By upvoting this notification, you can help all Steemit users. Learn how here!

https://steemit.com/steem/@steemitblog/a-radically-updated-steem-whitepaper 백서가 새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13주 변경 내용도 들어있습니다.

분석감사합니다.
여러번 steemit 을 읽고 ,
여러분들이 steem에 대하여 말씀 글을 주셨지만
steem코인외 스팀달러나 스팀파워에 대한것은 이해가 안되고있어서
자세한 설명이 된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요점이 잘 정리된 글이네요.

Coin Marketplace

STEEM 0.23
TRX 0.12
JST 0.029
BTC 66750.69
ETH 3470.59
USDT 1.00
SBD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