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용어정리 #9] 블록체인 용어 사전!! 이건 알고 가자 ⑨steemCreated with Sketch.

in #coinkorea6 years ago

대문이미지.jpg

안녕하세요 @saranged 입니다.
어제 오늘 갑자기 비트코인 가격이 많이 하락하면서 속상하신 분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 역시 바쁘다보니 실시간으로 대응을 못하고있는데요 ㅠㅠㅠ
곧 약속의 4월아닙니까!?! 다시 돌아올 상승장을 기다리며 모두 힘내봅시당


<이전 이야기>
[블록체인 용어정리 #1] 블록체인 용어 사전!! 이건 알고 가자 ①
[블록체인 용어정리 #2] 블록체인 용어 사전!! 이건 알고 가자 ②
[블록체인 용어정리 #3] 블록체인 용어 사전!! 이건 알고 가자 ③
[블록체인 용어정리 #4] 블록체인 용어 사전!! 이건 알고 가자 ④
[블록체인 용어정리 #5] 블록체인 용어 사전!! 이건 알고 가자 ⑤
[블록체인 용어정리 #6] 블록체인 용어 사전!! 이건 알고 가자 ⑥
[블록체인 용어정리 #7] 블록체인 용어 사전!! 이건 알고 가자 ⑦
[블록체인 용어정리 #8] 블록체인 용어 사전!! 이건 알고 가자 ⑧


<오늘의 용어>
트랜잭션
파종
패닉셀
평단
폴로닉스
비트파이넥스
하드캡/소프트캡
하드포크
핫월렛/콜드월렛
해쉬/해쉬파워
홀딩/호들
화이트리스트
횡보
후오비
흑우/흑두루미

① 트랜잭션

트랜잭션(transaction)은 ATM, 데이터베이스 등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쪼갤 수 없는 업무처리의 단위입니다.
영어 낱말 transaction은 거래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돈을 줬는데 물건을 받지 못한다면, 그 거래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원상태로 복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쪼갤 수 없는 하나의 처리 행위를 원자적 행위라고 합니다.

여기서 쪼갤 수 없다는 말의 의미는 실제로 쪼갤 수 없다기보다는 만일 쪼개질 경우 시스템에 심각한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러한 개념의 기능을 ATM 또는 데이터베이스 등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것이 바로 트랜잭션입니다.

Txid(transaction identifier)

블록체인상에서 트랜잭션(Transaction)의 기록은 공공장부라 방명록처럼 난잡하게 나열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기 트랜잭션을 찾을 수 있도록 ID를 부여했고 그 ID가 바로 TxID 입니다.
TxID를 이용하면 자신이 송금하거나 받아야하는 코인의 거래 내용을 상세히 볼 수 있으며, 전송의 진행이 어느정도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경우 : https://blockchain.info
이더리움(이더리움기반 코인)의 경우 : https://etherscan.io
네오(네오기반 코인)의 경우 : https://neotracker.io/
퀀텀(퀀텀기반 코인)의 경우 : https://qtumexplorer.io/
등 메인넷이 출시된 코인의 경우 독자적인 트랜잭션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업비트에서 제공해주는 화면을 보겠습니다.
현재 친구에게 0.077비트를 보냈고 거래ID(Txid)를 받은 상태입니다.


비트코인 트랜잭션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https://blockchain.info에 접속해봅시다

거래ID(Txid)를 우측상단에 적어줍니다.
cca2d763a6f83713c7309239fd7159ebdc00bf26cb53649e6c0e189e875157bf

왼쪽 위에 내가 입력한 Txid가 나오고 오른쪽중에 제가 보낸 0.77비트가 보이네요.
그 옆에 뜨는 주소가 제가 전송한 주소입니다. 눌러서 들어가보면

초록불이 보이면서 무사히 잘 전달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달이 진행중인 경우(컨펌중인 경우) 컨펌숫자가 나옵니다 Confirm1, Confirm2

② 파종

알트코인을 소수 단위로 많이 사서 투자하는 방식을 뜻하는 말입니다.

③ 패닉셀

당황해서 매도하는 행위를 뜻합니다.(고속하락장에서 많이 발생) 자기가 매수한 코인이 갑자기 가격이 하락하면 당황하면서 상황판단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고 매도하게 됩니다.

보통 패닉셀 이후에 반등이 나오면서 자신이 판 가격이 최저점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ㅠㅠ

④ 평단(평균단가)

코인을 얼마에 사고 팔았는지에 대한 가격, 쉽게 말해 평균 단가입니다.
예를 들어 100원짜리 코인을 100만원치 사서 10000개를 구매했습니다. 이때 평균단가는 100만원 ÷ 10000개 = 100으로 한개에 100원이 평균단가가 됩니다. 후에 가격이 50원으로 내려가자 100만원치 20000개를 구매했다고 하면.
최종적으로, 30000개를 200만원에 샀으므로 평균 단가는 200만원 ÷ 30000개= 66.66으로 한개에 66.66원이 평균단가가 됩니다.

정리하면 계산방법 : 내가 총 구매한 금액 ÷ 총 구매한 개수 = 평균단가 입니다.

⑤ 폴로닉스


https://poloniex.com/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입니다.
코인힐스 기준 거래량 16위의 거래소입니다.

⑥ 비트파이넥스

https://www.bitfinex.com/
암호화화폐 거래소중 하나입니다.
코인힐스 기준 거래량 3위의 거래소입니다.

비트파이넥스의 BTC/USDT의 거래량은 전세계 1위이기 때문에 많은 트레이더들이 기축통화인 BTC의 흐름을 보기 위해서 비트파이넥스 거래소의 BTC 차트를 활용합니다.

⑦ 하드캡/소프트캡

하드캡

하드캡(Hard Cap)은 최대모금액을 의미합니다.다. 쉽게 말해, 그냥 정해놓은 펀딩금액 만큼만 받겠다는 뜻으로, 사람 수와 무관하게 목표금액만큼만 모은다는 의미입니다다. 이때, 최대 모금액을 달성한 이후의 금액은 환불처리 됩니다.

소프트캡

소프트캡(Soft Cap)은 최소모금액을 의미합니다. 최소 모금액 이상이 모여야 사업이 진행되며, 최소모금액에 못 미치는 금액이 모금될 시에는 전체 환불 처리 및 ICO가 취소됩니다.

⑧ 하드포크

기존 블록체인과 호환되지 않는 새로운 블록체인에서 다른 종류의 가상화폐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기존 블록체인의 기능개선, 오류정정, 문제점 수정 등을 목적으로 블록체인을 기존의 블록체인과는 호환이 되지 않는 새로운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하드포크(Hard Fork)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어느 한 시점에서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뜻합니다. 블록체인이 두 갈래로 나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개발자들은 이전 버전의 프로토콜에서 심각한 보안상취약점을 발견했을 때, 혹은 소프트웨어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려 할 때 하드포크를 합니다. 하드포크로 인해 신규 암호화폐가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는 암호화폐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비트코인이 비트코인캐시로 하드포크 되었을 때 엄청난 파장이 있었습니다.

⑨ 핫월렛/콜드월렛

  • 핫월렛 :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거래를 할 수 있는 지갑

  • 콜드월렛 : 인터넷으로 연결이 안되는 실시간 거래 할 수 없는 지갑. 콜드 월렛의 경우에는 핫월렛보다 위험 부담이 줄어듦.

⑩ 해쉬/해쉬파워

해쉬 : 채굴되는 힘, 에너지를 말합니다.

해쉬 파워 : 일정한 순간에 채굴되는 양. 예를 들어, 해쉬파워가 5%이면, 그 순간, 해당 코인 채굴량의 5%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⑪ 홀딩/호들

홀딩(holding)은 코인을 계속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해외커뮤티니에서 한 유저가 hold를 hodl로 잘못 오타낸 이후로 홀딩이외에 호들, 호들링이란 이름으로 사용되기도합니다.

⑫화이트리스트

스팸 메일, 악성 코드를 유포하는 IP 주소, 피싱을 조장하는 허위 사이트 등을 데이터베이스(DB)로 만드는 블랙리스트(Black List)의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화이트리스트를 만들어 이로부터 전송된 이메일을 메일 서버가 언제나 수용하도록 하거나 각종 포털 사이트, 은행이 자발적으로 보안 업체나 단체에 화이트리스트로 등록해 웹 사이트의 안전성을 소비자에게 알려 주는 것입니다.

주로 ICO를 진행하기위해서 Whitelist에 등록해야하는데 이때 KYC(Know Your Customer)단계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ICO, KYC란?

⑬ 횡보

주가의 파동은 일정한 가격 폭에 따라 움직이는 습성이 있으며 그 폭은 하나의 상자(box)모양을 형성하게 됩니다. 주가가 일정한 가격폭 내에서 오르락 내리락하며 그 상한선을 깨지 못하는 모습을 말합니다. 매수 세력과 매도 세력의 힘이 비슷할 때 나타나며, 거래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듭니다. 주로 거액투자가나 기관투자가들의 개입이 많을 때 자주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박스를 상승 돌파하는 주가가 그려지면 가격 상승이 예상됩니다. 반대로 박스를 하단 돌파하는 주가가 그려지면 가격 하락이 예상됩니다.

⑭ 후오비

https://www.huobi.pro/ko-kr/
후오비는 세계를 이끄는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입니다. 2013년 후오비 팀은 블록체인 산업의 미래가치를 읽고, 매우 빠르게 Huobi.com을 만들었습니다. 후오비의 목표는 많은 사람들이 좀 더 부에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하는 것이고, 금융산업이 더 효율적일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후오비 하닥스(HADAX)

https://www.hadax.com/ko-kr/

후오비에서 추가적으로 낸 거래소로 상장투표를 통해서 코인을 상장합니다. 신생코인이나 이제 막 성장하기 시작하는 코인들이 주로 상장이 많이됩니다. 후오비 계정으로 후오비하닥스 접속 가능합니다.

후오비 하닥스에 있으면 후오비에 상장되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흘러나옵니다. 상장되면 코인의 가치가 많이 올라가겠지요?

후오비 코리아

https://www.huobi.co.kr/ko-KR/
3월 30일 후오비가 직접 한국에 사무실을 차리고 한국에 오픈한 거래소입니다. 원화입출금을 지원하기 위해 현재 노력중이며 중국의 3개 거래소중 하나인 후오비가 직접 한국 시장에 뛰어들게 되자 많은 사람들이 상승장을 기대하게 되었습니다.

원래 있던 후오비 계정과 연동되어 사용 가능합니다.

⑮ 흑우/흑두루미

‘호구’='혹우'='흑우'라는 뜻입니다. 본래는 네이버 중계등에서 쓰였다고 하는데, ‘호구’가 비속어이기 때문에 우회적으로 사용하면서 생겨난 말입니다.

건강한 흑우가 되지 않도록 노력합니다!! ㅠㅠ

흑두루미도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두루미는 철새로서 날개 달고 여기저기 이동한다'는 특징을 통해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암호화화폐 거래를 하는데, 귀가 얇아서 여기저기 갔다가 호구가 되는 그런 경우를 말합니다.
목 돌아간 흑두루미는 흑두루미보다 더 심한 호구라는 뜻입니다.

요즘엔 흑염소, 말랑카우, 블랙야크 등 다양한 별명으로도 불립니다.


이로써 제가 준비한 용어정리 씨리즈가 모두 끝났습니다 :)
용어 정리를 하다보니 블록체인과 암호화화폐 세상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아지는 것 같았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한 정보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앞으로 진행될 다양한 코인소개 ICO소개 등 다양한 글도 사랑해주세요♡
감사합니다!!

Sort:  

약속의 4월 ㅎㅎㅎ 기다려봅니다.

캬... 그동안 saranged님이 올려주신 코인 용어정리로 코인을 공부했어요!ㅠ 귀에 쏙쏙 들어오는 설명ㅠㅠ 코린이가 으른이 되어가는 기분입니당ㅠㅠ 친절한 설명 넘 감사합니다!!!ㅠㅠ

동감합니다ㅋㅋㅋ

자세한 설명들로 쑥쑥 지식이 늘어납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꾸벅

좋은정보감사용^^
소통해요!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1
BTC 71122.86
ETH 3848.97
USDT 1.00
SBD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