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의 캐스퍼(Casper), 라이덴(Raiden), 플라즈마(Plasma), 샤딩(Sharding) 프로젝트steemCreated with Sketch.

in #crypto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코슬라입니다.  

 이번에는 플랫폼 정상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더리움의 프로젝트들에 대해서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이더리움은 ICO와 크립토키티의 유행 당시에 이더리움의 네트워크는 급격히 증가하는 트래픽을 감당하지 못해 오랜 시간 트랜잭션을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었죠. 이외에도 단순 송금도 지연되는 상황도 수시로 발생해 많은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데요, 이더리움 재단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의 실용성을 위해서 몇 가지 프로젝트를 적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캐스퍼(Casper)

 이더리움의 합의 알고리즘을 PoW 방식에서 PoS 방식으로 바꾸는 프로젝트로, 재단에서 두 가지 방식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1. FFG 방식(Friendly Finality Gadget) - PoW 방식과 PoS 방식을 병행 사용하면서 점차 PoS의 비중을 높이는 방식
  2. CBC 방식(Correct by construction) - PoS 방식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기본 프로토콜 도입 후 점차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프로토콜을 추가 도입하는 방식

캐스퍼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특정 풀이 다수의 해시레이트를 장악 하는 상황을 벗어나 탈중앙화의 목표를 이룰 수 있으며 전력의 낭비 또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 라이덴 네트워크(Raiden Network) 

 결제 채널을 열고 닫는 과정 사이의 중간거래를 오프체인(Off-chain) 거래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부담을 줄이는 프로젝트로, 기존의 방식에서는 모든 거래가 이더리움 네트워크 위에서 이루어져야 하지만 라이덴 네트워크를 활용한다면 개인 혹은 다수 간의 거래를 이더리움 네트워크 바깥(Off-chain)에서 진행한 뒤 그 결과만을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기록한다. 쉽게 말해서 별도의 장부 거래를 진행하고 그 결과만을 등록하는 개념이다. 결국,  이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거래의 상당 부분이 네트워크 바깥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 가스비 등의 거래비용 절감 
  •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부담이 감소 
  •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처리속도가 증가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플라즈마 (Plasma)  

 라이덴 네트워크가 블록체인 바깥(Off-chain)형태의 솔루션이라면 플라즈마는 이더리움의 하위체인(Child-chain)을 통해 블록체인의 기록을 최소화한다. 지금까지 DApp은 이더리움 블록체인(Main-chain)에 모든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어 

  • 속도 문제
  • 블록 사이즈의 문제 
  • 데이터에 따른 가스 소비의 증가

로 이어지게 된다. 플라즈마를 통해 이 세 가지의 문제를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플라즈마 하부 체인의 유효성은 이더리움 메인 블록체인을 통해 검증이 가능하다.   

4) 샤딩(Sharding)

 샤딩은 데이터 저장 방식을 바꿈으로 네트워크를 개선하고 각 노드의 부담을 줄이는 방법이다. 기존 네트워크 검증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했지만 (Full-node) 샤딩은 전체 데이터를 나누어 각 노드가 데이터의 일부만을 저장하여 각 노드에서 부담해야하는 데이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글을 마치면서

 사실 블록체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탈중앙화‘입니다. 트랜잭션 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해 활용하는 DPOS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어떻게 보면 DPOS는 중앙집권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PoW와 PoS도 탈중앙화의 목적을 온전하게 달성하는 방식은 아니지만(PoW는 특정풀이 다수의 해쉬레이트를 차지하고, PoS는 부익부 빈익빈 문제도 가지고 있죠.) 블록생성의 권한이 모두에게 공평하게 주어진다는 점에서 DPOS보다는 ’탈중앙화’에 조금 더 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프로젝트들은 이더리움이 ’효율(속도와 확장성)’과 ’탈중앙화(모든 이들에게 주어지는 권한)’를 동시에 이루어내기위해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고 할까요?  프로젝트들의 성공적인 적용으로 그들이 추구하는 목표와 이상을 달성하고 이더리움의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으면 좋겠습니다.   

Sort:  

잘읽었습니다. 가상화폐에 대한 많은 고찰이 느껴지네요. ^^

확실히 스팀처럼 DPOS 체제가 아닌 점이 메리트이기도 하네요. 잘 읽고 갑니다.

네 감사합니다 ㅎ!

Loading...

Coin Marketplace

STEEM 0.32
TRX 0.11
JST 0.031
BTC 68072.80
ETH 3780.85
USDT 1.00
SBD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