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뷰] 존 로빈스의 음식혁명 (요약본)

육식과 채식에 관한 1000가지 오해

2002년 출판된 책의 2011년 개정판.

음식혁명
저자
존 라빈스
출판
시공사
발매
2002.09.02.

존 로빈스의 음식혁명
저자
존 라빈스
출판
시공사
발매
2011.07.22.

베스킨 라빈스의 후계자를 뿌리치고 자연인의 삶을 산 존 로빈스의 이야기

베지티쳐스 선생님 독서모임 요약 정리본입니다.

도담도담 비건북클럽에서도 1월 27일 같은 책으로 온라인 독서모임 진행합니다.

[요약]

베스킨라빈스의 후계자를 거절한 존 로빈스의 음식 이야기

Part 1 음식과 사람

<건강하게 먹기만 하면 인생의 행복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

몸에 좋으면서도 소박한 식품을 맛있게 조리하여 먹으며 건강하게 사는 사람과 스테이크와 아이스크림을 게걸스럽게 먹으며 과체중과 고혈압으로 고생하는 사람 중 누가 더 인생을 즐긴다고 생각하는가? (p.29)

<육류 생산업자와 유제품 생산업자들의 자본으로 점철된 주장과 그에 대한 반박>

육류와 유제품은 완벽한 식단의 시금석, 인간의 몸에 필요한 단백질, 칼슘, 철분, B12, 리보플라빈, 아연을 충분히 섭취하기에 최적화 된 음식이며, 이를 섭취하지 않을 시 건강이 나빠질 것.(p.29)

자사 제품이 건강 지향적이고 정말로 좋은 제품이냐 아니냐에 따라 각기 다른 ‘판매전략’을 수립. 그들은 소비자들이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에 관심을 보이기보다는 유행하는 것이나 다른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더 관심을 쏟기를 원한다. (p.31)

미국 현대인들의 첫 번째 사망 원인인 심장 질환의 가장 위험한 요인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이며 그 수치를 높이는 것은 포화지방의 과도한 섭취이다. 대부분의 포화지방은 동물성 식품에 존재하고 있다. (p.31-33)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짐→혈관이 막힘→심장 질환, 고혈압 등 혈관계 질환, 뇌 질환, 암 등 발생)

<암을 예방하는 식이 요법>

축산업의 다이옥신 오염은 심각한 수준이다. 다이옥신은 강력한 발암물질이다. (p.62)

미국 암연구소와 세계 암연구기금의 국제적 연구 결과 발표 보고서에 따르면 , 모든 암의 60~70퍼센트는 운동, 금연, 식이요법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p.55-56)

‘다양한 채소와 과일, 콩 종류, 최소한으로 가공 처리한 농산물 등으로 구성된 채식 위주 식단(p.116)을 택하라. (p.56)

완전 식품, 식물성 중심 식단으로의 변화=심장질환, 암 발생 가능성, 비만할 확률 감소, 생동감 및 창의성 등이 샘솟음, 노화에 대한 두려움이나 사랑하는 이의 이른 죽음을 경험할 확률이 줄어듦.(p.122)

<원푸드 다이어트, 저탄고지 다이어트, 혈액형 다이어트 등 비과학적이고 잘못 알려진 다이어트 방법이 시중에 많으며, 이와 관련된 서적을 낸 저자들은 하나같이 자신의 말이 옳다고 생각함.>

<어린이 채식에 대한 오해와 그 반박> p.109

철분 결핍에서 오는 빈혈이 채식주의 어린이들에게 흔함. → 빈혈에 걸릴 확률이 비채식주의 어린이와 다를 바 없음.

어린이의 두뇌 발달을 위해 고기는 필수적 → 미국 어린이 평균 아이큐는 99, 채식주의자 어린이는 116. <맥도날드 vs 줄리아 버터플라이 힐 : 여기 두 사람이 있다. 한 명은 돈을 목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음식을 팔기 위해 우정이라는 가면을 쓰고 있는 사람이요, 다른 한 명은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자기 생명을 내거는 사람이다. (p.114) >

<(p.127, 130)우유에 숨겨진 오해: 칼슘은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칼슘 섭취를 위해 우유를 마시는 것이 자연스럽게 각인되어 있지만,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칼슘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뼈를 튼튼하게 해준다는 통념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것. 오히려 동물성 식품인 우유가 뼈를 더 약하게 하여 골반 골절의 확률을 높임. 또한 우유를 마신다고 칼슘 흡수율이 높은 것도 아님.>

Q. B12와 같이 식물성 식품으로 얻을 수 없는 비타민(p.117)은 비건인들이 어떻게 섭취해야 할까?

Q. 국가적 손해(p.123)이기도 한 육식에 대해 국가는 왜 큰 관심을 보이지 않을까?

Part 2 음식과 동물

어떤 양돈업자 이야기

아이오와주에서 만난 양돈업자. 돼지들이 상상도 못할 악취 속 열악한 환경에서 살고 있었다. 로빈스는 본인의 신분을 숨기고 인터뷰를 요청했다. 인터뷰 후 갑작스런 저녁식사를 통해 양돈업자의 진심을 들을 수 있었다. 그는 본인이 동물권리자, 현대식 양돈 방법(대량생산)을 굉장히 싫어한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경제적으로도 곤란한 상황이었다. 그는 돼지는 영리한 동물이고, 잘 대해주면 녀석들도 인간에게 호감을 보인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사실 그는 어릴 적 애완용 돼지가 있었는데, 어느 날 그의 아버지가 그에게 키우던 돼지를 도살하도록 지시했다. 그는 도망치다가 결국 눈물을 흘리며 아버지 앞에서 돼지 도살을 했다고 한다. 로빈스는 그 날 저녁 그와 오랜 이야기를 한 후, 브로콜리 재배를 권유하며 자리를 마무리했다. 그 후 로빈스는 책 <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에서 그를 익명으로 언급하였고, 그에게 편지와 책을 보내주었다. 그는 로빈스를 만난 이후 양돈업을 그만두고, 브로콜리 농장을 유기농법으로 재배하고 있으며, 돼지도 키우는데 도살을 하지 않고 지역 학교와 연계하여 아이들이 돼지를 직접 만지는 경험을 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그리고 그는 거의 채식주의자가 되었고, 건강도 좋아졌으며, 경제적으로도 윤택해졌다.(196-205)

맥도날드의 공장식 축산농장

닭은 사회성이 매우 강한 동물이다. ‘페킹 오더’라 불리는 사회체계를 구성한다. 상하 질서가 엄격하다. 하지만 최대 90마리. 그 이상일 경우 질서는 지켜지지 않는다. 현재 양계장에는 보통 3000마리 이상의 닭이 한 곳에 모여 살고 있다. (구이용) 알을 낳는 닭은 무려 10만마리가 한 계사에 들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p.216-217)

돼지는 사회성이 매우 강하고 행동적인 동물로, 다른 동물과 교제도 가능하며 평균 하루 48km를 다닌다. 공동숙소를 마련해 같이 밤을 보내는 동물이다. 하지만 현대 돼지 공장에서는 임신한 암퇘지는 분리하여 돼지의 몸집보다 조금 더 큰 쇠창살에 홀로 가둔다. (p.218)

영국에서는 1960년대 루스 해리슨의 저서 <동물 기계>, 미국에서는 1970년대 피터 싱어의 논문 <동물의 자유>를 통해 현대 육류 생산의 현실에 대한 이해를 시민들이 하기 시작하였다. (p.221) 스웨덴의 동화 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은 동물 처우에 관한 캠페인을 진행하였고, 1987년 의회에서 동물 사육 법률안을 통과시켰다. (p.222) 유럽 여러 나라에서는 1990년대에 돼지나 닭을 좁은 우리에서 사육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률안을 통과시켰다.

1999년 맥도날드는 <비즈니스 윤리>라는 잡지의 윤리상 후보로 지명되었지만, 결국 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도살장 잔혹행위 때문이었다. 그 잔혹행위는 100퍼센트 기절시킨 후 소의 가죽을 벗겨야한다는 연방의 기준을 무시한 교육자료를 만든 것 등이 있다. 오랫동안 맥라이벌(맥도날드의 비행을 폭로한 운동가들과의 법정싸움)을 이어갔지만, 1997년 결국 맥도날드는 패소했다. (p.224-225)

동물보호단체 PETA 는 맥도날드가 동물의 고통을 줄이고, 베기 햄버거(채소로 만든 버거)를 판매하면 무료 홍보와 60만명 회원에게 배포하겠다고 제안하였으나, 맥도날드는 2년동안의 협상기간동안 맥도날드는 동물의 권리나 고통에는 일말의 관심조차 없는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후 PETA는 ‘맥크루얼티’ 캠페인(맥도날드는 잔인한 기업)을 국제적으로 벌였다. 결국 2000년 8월, 맥도날드는 닭의 삶을 조건을 향상하겠다는 조치를 발표했따. 조금 더 넓은 공간에서 살게 되었고, 강제 몰팅(forced molting: 달걀 생산을 늘리기 위해 다 자란 닭에게 물과 사료를 주지 않는 사육법)을 금지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우리가 즐겨먹는 잔인한 메뉴

송아지의 현실

어미의 젖을 충분히 먹지 못한다. 태어난 지 하루나 이틀 만에 경매시장에 끌려간다. 아프거나 죽은 동물들과 섞여 지낸다. 폭 55cm의 우사에 갇혀 평생을 보낸다. 정부가 보관하는 잉여 탈지유를 먹는다. 씹을 수 있는 단단한 음식을 공급받지 못한다. 빈혈에 걸려 있다. 어두운 곳에 갇혀 있다. 호흡기 및 장관 질환에 시달린다. 정상적으로 누울 수 없다.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받지 못한다. 전혀 걸을 수 없다.

닭의 현실

비좁은 공간에 밀집되어 페킹 오더 감각을 상실하고 난폭해져서 부리로 쪼아 다른 녀석들을 죽인다. 업계는 부리 자르기를 시행한다. 닭들의 발가락과 갈고리가 철사줄에 꼬이는 걸 방지하기 위해 잘라버린다. 달걀 생산량이 떨어지면 강제 몰팅의 희생자가 된다. 후유증으로 몸의 털이 뽑혀나간다. 지나치게 빠른 성장으로 심각한 비타민 결핍, 미네랄 결핍에 시달린다. 또한 시력 상실, 신장 손상, 뼈 및 근육 부실, 두뇌 손상, 마비, 뇌출혈, 빈혈, 성기능 발달 장애, 부리 및 관절 기형 등을 포함한다.

칠면조의 현실

몸이 비대해져 심장마비나 폐허탈로 죽는다. 그리고 인공수정을 통해 탄생한다.

#동물 보호 및 채식주의 유명인사: 제임스 크롬웰, 리버 피닉스, 허트 피닉스, 앨리시아 실버스턴, 에드 베글리 주니어, 린다 블레이어, 케빈 닐런, 에드워드 애스너, 엘리자베스 버클리, 케빈 유뱅크스, 제니 가스, 우디 해럴슨, 마릴루 헤너, 크리시 하인드, 케이시 카셈, 폴 매카트니, 스텔라 매카트니, 루 매클래너헌, 프린스, 앨리스 워커, 네이스 위버

#동물 보호 유명인사: 파멜라 앤더슨, 비아 아서, 알렉 볼드윈, 브리지트 바르도, 킴 베이신저, 산드라 버나드, 피어스 프로스넌, 시드 시저, 도리스 데이, 엘런 드제너러스, 론다 플레밍, 티피 헤드런, 빌 마허, 스티븐 시걸, 힐러리 스완크, 로레타 스위프트 (p. 257)

양심적인 식사는 불가능한가

소의 현실

젖소 1000만마리 중 절반 정도가 공장식 축산 시스템의 축사에서 살고 있다. 그 중 타이스톨(움직이지 못하게 매어놓는 것)에 수용된 젖소가 늘고 있다. 낙농공장의 소들은 일반적 소보다 20배의 우유를 생산한다. 젖소는 자기 무게만큼 우유를 생산하려면 넉 달이라는 시간이 필요한 반면, 요즘은 3주만에 생산한다. 성장호르몬 주사를 맞으면 열흘 만에도 가능하다. 미국 젖소 절반이 유선염을 앓고 있다. 어미소와 아기소의 유대관계를 끊어버리는 공장 시스템.

IBP육류 포장 기업의 현실

비디오 스캔들. 기절시키지 않은 상태의 소의 가죽을 벗기는 등 잔인하게 도살함.

우리가 이 세상에 온 것은 다른 생물을 학대하고 이용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우리가 이 세상에 온 것은 살기 위해서, 살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다. 매 끼니 식사는 그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한 수단이다. (p. 288)

Part 3 음식과 지구

<지구를 파괴하는 미국식 낙농업>

오늘날 우리는 악의 3대 요소와 얼굴을 마주하고 있다. 의학계에서 건강에 해롭다고 판단한 음식을 제공하는 식품 생산 시스템-동물에게 가혹한 고통을 안겨주는 공장식 축산농장과 비육장- 이 위기에 몰린 지구의 생명 자원 시스템에까지 손상을 입히고 있는 것이다. -295p

<우리가 사용하는 물은 어디로 흘러가는가>

물을 보호하고, 물을 덜 소비하려는 행동들... 그것은 분별있고 도움이 되는 행동이긴 하지만, 이 행동으로 절약할 수 있는 물을 모두 합친다 해도 식단을 채식 위주로 전환하여 절약할 수 있는 물의 양에는 미치지 못한다.

소고기 453그램을 먹지 않는 것이 1년동안 샤워를 전혀 하지않는 것보다 물을 더 많이 절약할 수 있다. -296p

<고갈되는 수자원>

고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우리가 먹을 식품을 생산하기 위해 의존해야만 하는 대규모 청정 물 탱크인 대수층이 무서운 속도로 고갈되고 있다.

무게 453킬로그램 소 한 마리를 키우는데 들어가는 물의 양은 해군 구축함 한 척을 띄울 수 있는 양이다.-<뉴스위크>

물을 절약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식단을 식물 위주로 전환하는 것이다. -303p

<쓰레기장으로 변하는 서부>

우리가 지금보다 고기를 적게 먹으면, 서부 지역의 광활한 공유지는 더 가치있고 환경적으로 가능한 쓸모있는 땅으로 변할 수 있다. 태양열 발전소, 풍력발전고 설치, 화석연료보다 오염도가 훨씬 덜한 바이오매스 연료로 이용될 수확가능한 풀을 키울 수 있다. 야생동물이 거주지를 만들 수 있다.

식물위주의 식단으로 전환하는 것은 서부의 광활한 목초지가 건강을 되찾는 것이다. 수많은 동물들의 멸종이 아니라 생존을 의미한다. 또 우리 자녀들이 지구의 자연적 시스템과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발견하면서 살게 되는 것이다. -315p

<열대우림을 치즈버거와 바꾸기>

열대우림 지대에서 사육한 소고기로 패스트푸드 햄버거를 하나 만들 때마다 20-30종의 식물, 10여종의 새와 포유동물, 파충류가 사라진다.

열대우림 지대에서 사육한 소고기로 만드는 햄버거 1개당 자그마한 부엌크기 약 5제곱미터의 열대우림이 사라진다. -321p

열대우림이 조성되는 데에는 수천 년이 걸렸지만, 그것의 상당 부분을 파괴하는 데는 겨우 25년반밖에 걸리지 않았다.

식물위주 식단의로의 문화적 전환은 남아 있는 숲을 보호하는 가장 근본적인 단계다. -323p

<진행 중인 온난화>

기온이 1도 상승하더라도 인간은 대체로 적응할 수 있다. 하지만 4도 상승하면 빙하시대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온난시대의 차이만큼이나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변화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데는 만년이란 긴 세월이 필요하지만, 우리는 지금 100년 안에 그런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언급한다.

세계 식량자원은 생물 다양성 상실, 해변의 엄청난 홍수로 결정적인 타격을 받게 될 것이다. -327p

<가스로 인한 피해>

미국에서의 곡물재배에 대량으로 사용하는 질소비료가 기후 변화의 주요 요소다. 질산 암모늄이 본질적으로 응고된 자연가스, 즉 화석연료이기 때문이다.

축산업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의 24배에 달하는 온실효과를 발생 시키면서, 대기 중 농도도 훨씬 빨리 상승시킨다.

식물 위주 식단으로의 전환은 환경적 온전함을 되찾는 첫걸음이다. -335,336p

<소는 먹고 사람은 굶는다>

세계 곡물 생산량의 거의 40퍼센트를 가축사료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가축이 먹어치우는 곡물의 양이 미국 전체 인구가 소비하는 양의 2배에 달한다.

가축을 완전히 없애면 세계 기아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주장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가축에게 곡물을 먹인 뒤 가축의 생산물을 먹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357,358p

<양식업이 해답인가?>

양식업과 축산농장에는 한 가지 일치하는 점이 있다. 엄청난 쓰레기 방출, 해안 오염

양식업은 지구, 동물, 빈곤층을 희생하며 주로 부유층을 먹이는 목축업계의 발자취를 그대로 따라왔다. -376,377p

Part 4 유전공학에 대한 착각

유전자 변형 식품 > 바이오테크 식품 등 다양한 이름이 붙지만 의미는 동일

유전자 변형이 세계의 기아를 해결 보장 못함

라운드업 레디 품종: 지속적으로 라운드업 사용해도 견딜 수 있도록 유전자를 변형한 품종, 라운드업 주요 성분이 독성 발휘, 악성 림프종 발생 위험의 상승과 관련 (392p)

형질 변형 작물이 기아 문제를 해결하지 않음

콩은 북반구에 살고 있는 돼지나 소들의 사료로 사용됨

유전자 변형 작물을 창출하는 것은 그것이 생산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특허권을 딸 수 있기 때문, 그것의 경제적 가치는 자립자족하고자 하는 생계형 농부가 아니라 이미 비만상태인 가축에게 더 많은 사료를 먹이는데 있다. (399p)

<자살씨앗>

몬샌토: 테크놀로지 보호 시스템 개발, 이 기술은 영구적으로 재생 능력을 갖추지 못하도록 씨앗의 유전자를 변형하는 과정, 이 기술을 사용하면 농부들은 다음해에 심을 씨앗을 보관할 수 없게 되어 해마다 새로운 씨앗을 사기 위해 몬샌토를 방문해야 함.

12개 기업이 유전적으로 재생산능력을 없애는 화학물질에 의존하는 씨앗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만 무려 20여개의 특허를 받아놓은 상태

몬샌토의 목적은 현재 세상의 식량창고 역할을 하는 수많은 주식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것 (402p)

새로운 질병 중 다수가 수평적 유전자 주입에서 비롯됨, 전염성 독감, 에이즈균, 광우병 등 (416p)

<살충제>

내충성 작물: Bt라는 자연적으로 생성된 토양 유기체에서 추출한 유전인자를 포함함

Bt를 뿌리는 것에서 Bt독성을 생성하도록 유전자 변형한 작물은 세포 안에서 그 물질을 생성 > 곤충이 내성을 기우면 Bt는 유기농업에 유용X > 유전자 변형 Bt작물은 자연적 살충제의 유용성을 파괴할 것

내충성 식물: 살충제 생성 식물, Bt보다 독성이 강함, 유익한 곤충인 벌, 무당벌레 등에 해로움

<식물성 식품>

콩, 옥수수, 캐놀라유, 감자, 파파야, 면실유 등 유전자 변형 물질이 포함되어있는지 확인

유기농, GMO-free, Non-GMO 사기

캐놀라유: 대부분 캐나다산, 캐나다산 캐놀라는 대부분 유전자 변형된 것

<동물성 식품>

라운드업 콩껍질 축적 > 동물 사료로 사용 > 사람들이 제초제에 노출

비유전자 조작 콩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증가 > 유전자 콩과 옥수수 가격이 전통 품종 밑으로 떨어짐 > 비육장과 공장식 농장 농부들은 비용 절감 위해 유전자 변형 콩과 옥수수 사용량 늘림 > 동물성 식품이 더 위험한 식품이 됨

<형세의 전환>

유기농이 세계 식품 생산에서 상당한 영향력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음

2010년까지 유럽 연합 전체 농경지 중 유기농이 차지하는 비율이 30퍼센트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

농무성은 중금속 성분이 가득한 하수 침전물을 뿌린 농경지에서 재배한 식품과 유전자 변형 식품도 유기농 식품으로 허용하는 연방유기표준의 확립을 기도한 바가 있음 > 시민들이 나섬 + 자연식품 기업과 건강식품 전문점 > 철회되고 엄격한 유기 표준 제정

유기농으로 거둔 생산량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얻은 생산량과 비슷, 건조시기에는 유기 농경지가 전통 농경지보다 소출이 많음, 화학물질 구입 비용 절약으로 경제적으로도 성공할 수 있었음 (470p)

10퍼센트 적은 산출량을 낸 적이 있으나, 미국 농업의 대부분은 동물의 사료를 재배하기 위한 것 > 육식을 줄이면 전체 농경지를 유기 농경지로 전환, 살충제와 유전공학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음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69805.09
ETH 3740.40
USDT 1.00
SBD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