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메스의 작은생각] be동사로 데카르트를 디스하다

in #kr6 years ago (edited)

이번 글은 지난 글 스피노자에게 be동사를 배우다의 스핀오프 격입니다. 이번에도 주인공은 be. 하지만 이번에는 방향이 좀 다릅니다. 지난번이 ‘철학으로 영문법하기’라면 이번 글은 ‘영문법으로 철학하기’쯤 되겠네요.^^

descartes_be.jpg

데카르트는 수학자로도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친숙한 예만 몇 가지 들자면 방정식에서 미지수 x를 쓰기 시작했고, x축과 y축이 수직으로 만나는 좌표 평면을 도입했으며, 거듭제곱을 숫자 오른쪽에 위에 작은 숫자로 표현하는 ‘지수’를 처음 고안해냈죠.

수학자로서의 이런 많은 업적은 어쩌면 꼼꼼하다 못해 소심하기까지 한 성격에서 비롯되었는지도 모르겠네요. 중세철학의 토대를 근본적으로 뒤집어 ‘근대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지만 정작 자신은 그런 내용의 저서 서문에다가 뭐가 그리 불안했는지 교회에 대한 갖은 칭송(아부?)을 늘어놓았으니까요. 어쨌거나 데카르트의 소심한 성격은 그의 철학에서도 드러납니다. 이런 식이죠.

데카르트: 나는 의심 병 환자야. 조금이라도 의심의 여지가 있으면 믿지 않겠어.
학생: 그럼 선생님, 지금 저랑 말하고 있는 것도 못 믿으시겠네요?
데카르트: 당연하지. 내가 지금 꿈을 꾸고 있는지도 모르잖아.
학생: 그렇더라도 이 방정식의 근이 5인 건 믿으실 수 있죠? 선생님이 방금 풀어주셨잖아요. 설령 꿈속이라도 수학문제의 정답은 정해져 있지 않을까요?
데카르트: 그것도 마찬가지야. 악마가 내 생각을 조종하고 있는지 어떻게 아니?

크헐, 이 정도면 중증입니다. 그런데 바로 이 때, 데카르트의 뒤통수를 치는 깨달음이 있었으니, ‘꿈을 꾸고 있는 나, 악마의 조종을 받고 있는 나 자신은 의심할 수 없는 것 아냐?’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설령 그것을 의심하더라도 그것을 의심하고 있는 ‘나’는 의심할 수 없으니까. 의심하고 있는 나를 의심하고, 그렇게 의심하고 있는 나를 또 의심하고…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명제가 그 유명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인데요. 이 순간, 철학만큼 영어도 좋아하는 헤르메스가 나타나 치명적인 태클을 가합니다.

헤르메스: 에이, 선생님, 말장난은…. "나는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고 하셔야죠.
데카르트: 그게 그거지, 뭐가 달라?
헤르메스: 아니, 하는 거랑 하고 있는 건 다르죠. "너 스팀잇 하냐?"랑 "스팀잇 하고 있냐?"가 어떻게 똑같나요?”
데카르트: 엇? 그런가?

그렇죠, 여러분? "너 스팀잇 하냐?"라는 질문은 물론 "너 (지금) 스팀잇 하냐?"라는 뜻도 되지만 "스팀잇에 가입했냐?" "스팀잇 활동하냐?" "스팀잇 할 줄 아냐?"의 뜻도 되니까요.

하지만 데카르트가 의심할 수 없다고 말한 대상은 어디까지나 생각하고 있을 때의 나, 의심하고 있을때의 나였죠. 따라서 데카르트의 명제는 ‘나는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로 수정되어야 한다는 게 똑똑한 헤르메스의 생각인 거구요. 영어도사들이 지겹도록 말하는 현재진행형!

I am thinking, therefore I am.

이렇게 수정해놓고 보면 말장난의 비밀이 확실히 드러납니다. be동사 ‘am’을 잘 보세요. 앞의 글에서 이야기했듯 be는 ‘있다=존재하다’라는 뜻이고, 보어는 존재의 ‘양태’를 나타내는 말이니 ‘I am thinking.’을 낱낱이 풀어 해석하면 ‘나는 생각하고 있는 양태로 있다.’가 됩니다. 읽어보니 이상하죠? 말이 씹히죠? 이유는? '있다'라는 표현이 한 문장에서 두 번 반복되기 때문입니다. 데카르트가 한국어를 사용했다면 이런 사기(?)를 칠 수는 없었을지도...^^

스스로 금과옥조처럼 여기는 명제에서, 데카르트가 '무엇인가를 한다'라는 표현이 갖는 다양한 의미 사이에서 혼동을 일으킨 건지(그렇다면 그는 머리가 나쁜 겁니다) 아니면 의도적으로 혼동을 유발한 건지(그렇다면 그는 그냥 나쁜 놈입니다)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위대한 수학자 데카르트에게 머리가 나쁘달 수는 없으니 그냥 나쁜 놈인 걸로! ㅎㅎ

어쨌든 이것 하나는 명확합니다. 우리가 의심할 수 없는 것은 ‘생각할 줄 아는 나’가 아니라 ‘생각하고 있는 나’, ‘의심하고 있는 나’, ‘오버워치 하고 있는 나’ 다시 말해 ‘무엇이든 하고 있는 나’라는 것이죠.

철학도 좋아하고 영어도 좋아하는 헤르메스는 이렇게 해서 ‘나’의 확실성을 ‘생각(하는 능력)’에서 찾고 그것이 모든 진리의 출발점이라 주장했던 데카르트를 확실히 디스해 버렸습니다. 오옷! 그렇다면 '생각하는 능력을 가진 나'의 확실성에 근거를 둔, 데카르트 이래 지금까지의 모든 과학들, 지식들, 진리들은 어떻게 되는 거죠? 큰 일 났네~

더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 기회를 기약하구요. 여러분! 의심병 환자 데카르트 선생님도 의심할 수 없었던 것은 사실 ‘뭔가를 하고 있을 때의 우리 자신’입니다. 그러니 뭐든 열심히 해야겠죠? 이왕이면 하고 있을 때 행복한 걸 하자구요~!^^


블록체인 영단어
헤르메스의 교단일기
헤르메스의 작은생각

오늘 제 글은 여기까지입니다. 약속드린 장기 연재 “오직 대한민국 사람들만을 위한 영어”도 준비를 마치는 대로 곧 시작하겠습니다. 보팅, 댓글, 리스팀, 팔로우, 뭐든 여러분의 반응은 헤르메스의 날갯짓을 더 힘차게 만듭니다. 하지만 스팀잇 뉴비인 지금의 헤르메스는 리스팀이 더 간절하답니다. 헤르메스의 보람은 더 많은 사람들과의 나눔이니까요. 글이 좋으셨으면 RESTEEM!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저와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

resteem.jpg

Sort:  

아~ 정말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유익한 글이네요. 리스팀은 어떻게 하나요? 알려 주시면 할게요 ^^

그리고 jjangjjangman 태그를 달아보세요. 짱짱맨 분들이 이 글에 힘을 줄 겁니다.

네 감사합니다. 짱짱맨 태그 달다가 이번엔 빼먹었네요. 리스팀 위치는 아래 그림으로...^^ 킹킴님 덕분에 리스팀 위치를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 일러스트레이터로 만들었어요. 감사합니다~^^
resteem.jpg

리스팀 했습니다. 팔로워 수가 적어 큰 도움은 못 되네요.

무슨 말씀을요. 사실 댓글만으로도 기분이 방방 들떴는데 리스팀도 해주시고 추천도 해주시니... 참, 저도 궁금한게 생겼는데 (다른 분들한테) 추천은 어떻게 하나요? @@

짱짱맨 태그 지원하시는 오치님이 뉴비 지원을 위해 큐레이팅 하는 지원자들을 모집하는 카톡방을 열었어요. 그레서 거기에서 추천했습니다^^

아하 그렇군요. 저는 또 제가 모르는 기능이 있나 하고...^^::::

우와 ㅎㅎㅎ be동사로 데카르트와 싸워서 이기셨네요!! ㅎㅎㅎ
3번정도 읽어서 반정도 이해했습니다!! ㅎㅎㅎ

이왕이면 하고 있을 때 행복한 걸 하자.

그리고, 이 문장 완전 공감하고 갑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kingkim님 추천 받고 들려보았습니다!! ^^)
jjangjjangman 태그 많이 이용해주세요!! ㅎㅎㅎ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공감하셨다니 더 감사하구요. 이전 편 읽어보시면 좀더 쉽게 이해되실 거예요. 짱짱맨 태그 잊지 않겠습니다. 저도 뉴이즈님 팔로우했어요. 자주 뵙겠습니다~^^

철학과 영어공부를 동시에...
상당히 유익합니다. 다음 편도 기대됩니다^^

도움되셨다니 감사합니다. 아이들 가르치는 틈틈이 열심히 생각하고 열심히 쓰겠습니다~

좀 지난 글이지만 다른 생각이 있어 나눕니다.
일단 데카르트는 영어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당연히 아시겠지만.. 라틴어를 사용했고,
유명한 문장 Cogito, ergo sum 으로 표현했습니다.
이 문장에서는 영어의 be 동사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esse 동사가 한번만 사용됩니다. cogito는 생각하다라는 뜻의 단어 cogitare 의 1인칭 현재형이구요.
라틴어에서는 현재형과 현재진행형을 구별하지 않습니다. cogito 라는 단어 하나에 1인칭 주어 + 현재의 상태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인데, 이걸 영어로 번역하여 해석하면 본래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나 싶네요^^

의견 고맙습니다. sintai님이 말씀하신 바로 그 부분 때문에 오히려 데카르트를 비판하는 툴로 영어를 사용한 겁니다. 예컨대 '수영하니?'라는 말은 정황적으로 여러가지 의미일 수 있습니다. 가장 쉽게는 부사를 넣어보면 되죠. '(지금) 수영하니?'는 '(지금) 수영하고 있니?', '(혹시) 수영하니?'는 '(혹시) 수영할 줄 아니?'일 수 있습니다. '(아직) 수영하니?'는 '(아직) 수영하러 다니니?'일 수 있구요. <성찰>에서 데카르트는 '자아'의 확실성을 '생각'에서 찾는데, 그 이유가 '생각할' 때 생각하는 주체인 나 자신은 의심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때 '생각할' 때란 정확히 '생각하고 있을' 때라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이를 나중에는 교묘히 비틀어 생각하는 능력 혹은 의식이 있기에 자아가 확실하다는 식으로 논리를 전개시키는 거죠. 라틴어와 프랑스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는 저 역시 갖추고 있으나, 현재시제가 갖고 있는 정황적 다의성을 데카르트가 이용했거나 정황적 다의성 때문에 혼동을 일으켰다는 걸(저는 전자라고 봅니다. <성찰>은 신의 존재를 증명해달라는 교회의 주문에 따른 저작이었으니까...^^) 투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영어를 활용했다고 이해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아하... 설명을 듣고 나서 다시 읽으니 의도하신 바가 보이는 것 같습니다. 저는 언어는 의식을 규정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100% 동의하지는 못합니다만 탁월한 시각에 감탄하고 갑니다.

말씀하신 '탁월한 시각'은 대부분 스피노자에게서 힌트를 얻은 것입니다. 따라서 감탄의 정당한 대상은 스피노자여야 할 거 같습니다. 사려깊은 댓글, 다시 한번 감사 드립니다~

스피노자를 제대로 안배웠더니 이런 참사가 일어나는군요 ㅎㅎ 잘 배우고 갑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30
TRX 0.11
JST 0.030
BTC 67773.95
ETH 3733.37
USDT 1.00
SBD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