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승부를 예측할 수 있을까? - 승률에 대한 이야기(2)

in #kr6 years ago

안녕하세요! ryanhan입니다.
저번포스팅에서 상대전적이 없을때
승부를 예측하는 방법이 어떤것이 있을지
에 대하여 언급하였고,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이야기 해봤습니다.
imfywxmg3x6nt1oo6a4y.png
승률이 75%인 선수A와 승률이 60프로인 선수B가 승부를 겨룰때 선수A가 이길확률은?

오늘은 간단한 가정들로부터 생각해봅니다.

1. 평균적인 선수와의 대결

선수 A의 승률 75%는 어떻게 나왔을까요?
다양한 선수와의 경기의 결과입니다.
그럼 평균적인 선수, 즉 승률이 50%인 선수와 대결하면 선수 A가 이길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75%일것입니다.

2. 간접적으로 비교

선수A와 선수B를 직접 비교하기는 힘듭니다.
대신 승률 50%인 선수 C를 생각합니다.
그리고 한달정도 매일매일
A와C, A와B를 경기 시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네가지 경우가 생깁니다.

  1. 45% - A승 B승
  2. 30% - A승 B패
  3. 15% - A패 B승
  4. 10% - A패 B패

2번의 경우는 A > C >B라는 논리로
30%의 게임우 A가 B를 이겼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3번의 경우는 B> C > A라는 논리로
15%의 게임은 B가 A를 이겼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1,4의 경우는 간접비교로 해결할 수 없어서 A와 B를 재경기를 통해 직접 붙인다고 해봅시다.(55%의 게임)

그럼 선수 A와 선수B가 승부를 겨룰때 A가 이길확률을 P라고 한다면
P=0.3×1+0.15×0+0.55×P
라고 쓸 수 있고,
P=66.6% 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3.정리와 결론

이번 풀이에서 사용된 가정은

  1. 실력에 기복이 없으나, 실력이 더 높은 선수가 항상 이기는 것은 아니다.
  2. 시합에 실력이 완전히 반영되어(선수간의 상성같은게 없다) A가 C를 이기고 C가 B를 이기면 A가 B를 이겼다고 볼 수있다.

그리고 사용된 방법은

  1. 평균적인 선수와의 같은 날 대결
  2. 간접적으로 비교

위와같이 정리해볼 수 있고,
결국 66.6%라는 값을 구했습니다.

이 풀이는 하나의 방법일뿐이고,
가정이 바뀌면 여러가지 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yanhan이었습니다.

Sort:  

통계로 값을 내면 근사치가 나오니 대부분의 스포츠 확율은 이렇게 계산을 하는가 보죠? 설날 잘 보내세요!

이것보다 훨씬 정교한 가정과 데이터들로 계산을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상성같은걸 생각한 전 너무 나갔군요 ㅎㅎㅎㅎ

상성같은걸 고려하려면 아무래도 상대전적이 있어야 할 것 같은데요 ㅠㅠㅠ ㅋㅋㅋㅋ

회를 좋아하시는 @ryanhan 님 팔로우 하고 갑니다.
인생 맛있는거 먹는것도 큰 행복이니 맛직 있으면 공유하시죠^^
포스트 올리시는것도 틈틈시 감상하러 올게요~~!!

sansoc님 방문해주셔서 감사해요~~~~~!
저도 가끔씩 먹스팀 올린답니다 ㅎㅎㅎ
방가워요

논리적이고 제게는 완전 새로운 글에 감탄을 표하며 갑니다 ㅎㅎ

완벽한 건 아니지만 재미있는 문제죠 ㅎㅎㅎ.
칭찬 감사드려요!!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1
BTC 71238.01
ETH 3865.22
USDT 1.00
SBD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