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

in #lwj6 years ago

품 사

  1.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1) 명사
    ㈎ 개념 :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의 묶음
    ㈏ 종류
    ㈀ 사용 범위에 따라
    ① 고유 명사 :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에 대하여 붙여진 이름(사람, 땅, 나라, 책, 사건 이름 등)
    a. ‘이’, ‘모든’, ‘새’ 따위의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 ex) *이 영자가 저 영자를 때렸다.
    b. 복수에 대한 표현이 어렵다. ex) *영자들이 마구 몰려 왔다.
    c. 수와 관련된 말과 결합하지 않는다. ex) *두 백제가, *설악산마다
    d. 복수형을 취하면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한다. ex) 우리들은 장래의 세종 대왕들을 기다린다.
    e. 보통 명사가 사람이나 사물의 명칭으로 고정되어 쓰일 때에는 고유 명사가 된다( →보통 명사의 고유 명사화)
    ex) 솔은 내가 즐겨 피우는 담배다.(담배 이름)

㈁ 자립 여부에 따라
① 자립 명사 : 문장에서 다른 말의 도움을 받지 않고 여러 성분으로 쓰이는 명사
② 의존 명사 : 명사의 성격을 띠면서도 그 의미가 형식적이어서 홀로 자립하여 쓰이지 못하고
반드시 관형어가 있어야만 문장에 쓰일 수 있는 명사
a. 자립성이 없으면서도 명사의 인정을 받는 것은 뒤에 격조사를 취하며 그 앞에 관형어의 수식을 받기 때문이다.
b.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문장의 첫머리에 놓일 수 없기 때문에 불완전하다.
c. 일반 명사처럼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지 못하고,
‘일, 곳, 내용, 사람’ 등의 실질적인 의미를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 보편성 의존 명사
a. 관형어와 조사와의 통합에 있어 큰 제약을 받지 않으며, 의존적 성격 이외는 자립 명사와 큰 차이가 없다.
ex) 저 분이 우리를 돌보셨다. 네가 가져 와야 할 것이 많다.
b. 문장의 여러 성분에서 두루 쓰인다.(것이, 것을, 것에...)
c. 보편성 의존 명사 중 대표적인 것은 ‘것’으로 자립 명사의 대용 이외에도 여러 가지 특수한 기능을 가진다.
ex) 우리 집의 백자는 조선 시대 후기의 것입니다.(선행 체언 지시)
그들은 무한한 행복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문장의 뜻을 강조)

③ 의존 명사의 판별
⑴ 의존 명사와 조사 : ‘만큼, 대로, 뿐, 체, 만’ 등은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 오면 ‘의존 명사’이지만,
체언 뒤에 오면 ‘조사’로 취급하여 붙여 쓴다.
ex) 대로: 아는 대로(의존 명사), 나는 나대로(조사)
만큼; 먹을 만큼(의존 명사), 너만큼 나도 안다(조사)
⑵ ‘하다’가 붙을 수 있는 의존 명사 : 뻔, 체, 양, 듯, 척
ex) 듯: 씻은 듯 깨끗하다(명사), 구름에 달 가듯이(어미)
척(양, 체): 아는 척을 한다(명사), 아는 척한다.(동사)
⑶ 의존 명사와 접미사
ex) 이: 좋은 일을 한 이(명사), 지은이, 옮긴이(접미사)

(2) 대명사
㈎ 개념 :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대신해서 그것을 직접 가리켜 이르는 단어의 묶음, 곧 명사를 대신하는 말이다.
㈏ 특징
㈀ 단독으로 주어가 될 수 있다. 지시성이 있다.
㈁ 조사가 붙어 격표시가 이루어진다.
㈂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지만, 용언의 관형사형의 수식을 받는다. ex) 즐거운 우리, 젊은 그들 *이 그들
㈐ 종류
㈀ 지시(비인칭) 대명사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와 장소를 가리키는 것이 있다.

근칭
중칭
원칭
미지칭
부정칭
사물 대명사
이, 이것
그, 그것
저, 저것
무엇, 어느것
아무것
장소 대명사
여기
거기
저기
어느곳, 어디
아무데, 아무곳

① ‘관형사 + 의존 명사’의 합성어인 점이 특징이다.
② ‘여기, 거기, 저기’가 주체 성분으로 쓰였으면 지시 대명사이고, 용언이나 문장 전체를 꾸미면 부사이다.
ex) 여기가 바로 대관령이다. 바로 여기 있었구나.
㈁ 인칭 대명사 : 사람을 이름 대신 직접 가리키는 말

아주 높임
(극존칭)
예사 높임
(보통 존칭)
예사 낮춤
(보통 비칭)
아주 낮춤
(극비칭)
제1인칭

나, 우리
저, 저희
제2인칭
어른, 어르신
당신, 임자, 그대
자네, 그대
너, 너희
제3인칭
근칭
(이 어른)
이분
이이
이애
중칭
(그 어른)
그분
그이
그애
원칭
(저 어른)
저분
저이
저애
*미지칭
(어느 어른)
(어느 분)
누구
**부정칭
(아무 어른)
(아무 분)
아무
재귀칭
당신
자기
자기

  * 가리키는 대상을 모르는 경우에 사용
  ** 가리키는 내용이 확실히 정하여지지 않은 경우에 사용 

cf) 1인칭 ‘우리’의 쓰임
① 포괄적인(inclusive) 용법 : 청자를 포함
② 배타적인(exclusive) 용법 : 청자를 제외 ex)‘우리 마누라’

(3) 수사
㈎ 개념 :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단어
㈏ 특징
㈀ 조사가 붙어서 여러 문장 성분이 된다.
㈁ 한 문장에서 ‘명사, 대명사, 수사’가 같은 성분으로 쓰일 때의 배열순서는 ‘대명사 + 명사 + 수사’ 순이다.
ex) 우리 한국민 오천만
㈐ 수사의 판별
㈀ 수 개념의 말이 조사를 취하면 수사이고, 취하지 않고 다음에 오는 체언을 수식하면 관형사이다.
ex) 하나의 사건(수사), 한 사건, 천 사람(관형사)
㈁ 차례를 나타내는 말이 사람을 지칭하면 명사가 된다.
ex) 그의 성적은 첫째다(수사), 첫째는 공무원이고, 둘째는 회사원이다(명사)
㈂ ‘두 번째, 세 번째’의 형태는 ‘(수)관형사 + 의존 명사 + 접미사’의 형태이다.
㈃ ‘하루, 이틀, 초승, 그믐’ 등은 날짜와 시간의 이름이므로 명사이다.

  1. 관계언 : 조사
    ㈎ 개념 : 체언 뒤에 붙어서 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추가하는 의존 형태소를 조사라고 한다.
    ㈏ 특징
    ㈀ 조사는 자립성을 가지지 못하지만, 자립성을 가진 말과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성격을 인정하여 단어로 취급한다.
    ㈁ 기능 -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격조사), 특별한 뜻을 더해주거나(보조사),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주는(접속 조사) 역할을 한다.
    ㈂ 조사는 활용하지 않으나, 서술격 조사는 형용사와 비슷한 활용을 한다.
    ㈃ 기능과 의미가 같다 하더라도 음운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형태가 바뀐다.(이형태)
    ex) 이/가, 을/를, 은/는, 와/과...
    ㈄ 실현 : 조사는 대개 체언 뒤에 붙지만, 때로는 동사, 형용사와 부사 뒤에 붙기도 하고 문장 뒤에 붙기도 한다.
    ex) 이 옷을 한번 입어만 보아라 / 그저 빨리만 오너라, 빨리요? / 무엇을 하느냐보다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다.

㈐ 조사 결합의 제약
: 일반적으로 체언은 모든 조사와 결합이 가능하나 몇몇 체언은 특정한 조사와만 결합하는 경우가 있다.
㈀ 의존 명사의 예

의존 명사
특 징
보 기
지, 수, 리, 나위
주격 조사만 연결
그런 일이 있을 수가 있니?

목적격 조사나 부사격 조사 ‘로’만을 연결
내 소설이 당선될 줄을/로 알았다.
바람
부사격 조사 ‘에’만 연결
네가 방해하는 바람에 다 마치지 못했다.

서술격 조사만 연결
그냥 이야기했을 뿐이야

㈁ 자립 명사의 예

자립 명사
특 징
보 기
불굴
관형격 조사 ‘의’만 연결
불굴의 투지로 끝내 시험에 합격하고야 말았다.
마찬가지
서술격 조사 ‘이다’, 관형격 조사 ‘의’, 부사격 조사 ‘로’만 연결
이것은 저것과 마찬가지이다. 마찬가지의 처리, 마찬가지로

(1) 격조사
㈎ 개념 : 앞에 오는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자격(문장의 성분)을 가지도록 하여 주는 조사
㈏ 종류
㈀ 주격 조사
① ‘이/가’ - 음운론적 이형태 ② ‘께서’ - 선행 체언이 높임 대상 일 때
㈁ 목적격 조사 - ‘을/를’
① 타동사의 목적물이 되게 하는 조사
② 방향, 처소, 낙착점을 나타내는 말이 때로는 목적격 조사를 취한다. 이때의 ‘을/를’을 목적격 조사로 보며 그것이 붙은 말도 목적어가 된다.
ex) 나는 학교를(-에) 다닌다. / 그가 나를(-에게) 더 좋은 것을 주었다.
cf) 너는 또 어쩌자고 백화점에를 갔니? (처소의 강조 - 목적격 조사의 보조사적 용법)
㈂ 보격 조사 - ‘이/가’
: 보격 조사는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 아래 붙어 그 말을 ‘되다, 아니다’의 보어가 되게 한다.
ex) 얼음이 물이 되었다. / 이것들은 문학의 재료가 아니다. cf) 물이 얼어 얼음으로 된다.

▲ 보어 설정의 논란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서술어 ‘되다, 아니다’의 앞에 오는 성분을 보어로 설정하고 있는데, 이 때 조사는 ‘이/가’이다. 보어는 불완전 용언을 보충하여 주는 필수 성분인데, 불완전 용언의 범위가 문제가 된다.
cf) (~에게) 주다, (~으로) 삼다, (~에) 넣다, 두다, (~와) 닮다, 같다, 비슷하다, (~으로) 깨뜨리다
위에서 보듯이 ‘되다, 아니다’만이 보충어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다. 즉, 보어의 정의와 설정 범주가 다시 논의되어야 한다.

㈃ 관형격 조사 - ‘의’
① 관형격 조사는 선행하는 체언으로 하여금 후행 체언에 대해 관형어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관형격 조사는 다른 조사와는 달리 체언과 체언을 이어주는 기능만을 가진다.
② 이 때 선・후행 체언은 다양한 의미 관계를 가진다.
: 주어 - 서술어, 목적어 - 서술어, 전체 - 부분, 소유자 - 대상 관계 등
ex) 역사의 흐름, 성과의 축적, 아내의 손, 외삼촌의 집
③ 관형격 ‘의’가 주격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 때 ‘의’는 생략할 수 없다.
ex) 자식의 어버이 생각하는 마음
④ 관형격 조사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ex) 설악산(의) 비선대, 책(의) 주인

㈄ 부사격 조사 - 에(낙착점), 에서(출발점, 낙착점), 에게/에(상대), (으)로(변성), 로(써)(수단), 보다(비교),
와(공동), 라고(직접인용)/고(간접인용)...

▲ 부사격 조사의 다양한 의미 기능
① 동일 형태의 조사가 여러 기능을 하거나, 여러 형태의 조사가 단일 기능을 하는 경우
‘그는 대전에서 왔다.’와 ‘그는 대전에서 산다.’의 경우처럼 ‘에서’가 형태는 같으나 ‘출발점’의 의미와 ‘낙착점’의 의미 기능을 함께 하고 있다. 이는 부사격 조사가 본질적으로 서술어의 의미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즉, 문장 안에서 어떤 서술어와 함께 나타나느냐 또 어떤 위치에서 나타나느냐에 따라 일정한 형태의 조사가 다양한 의미 기능을 하는 것이다.
② 부사격 조사 분류에 있어서 의미를 기준으로 할 것인가, 형태를 기준으로 할 것인가도 문제가 된다. 학교 문법에서는 문장 안에서의 문맥상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다.

㈅ 호격 조사 - ‘야, 아, 이여’
: 주로 사람을 가리키는 체언에 연결되어 호칭의 대상이 되게 하는 조사이다.

㈆ 서술격 조사 - ‘이다’
① 조사와 용언의 두 가지 속성을 함께 지니고 있다.
a.‘이다’가 조사와 같은 점 : 격조사는 앞에 오는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자격을 갖도록 하는데, ‘이다’도 다른 격조사와 마찬가지로 앞의 체언이 서술어로서의 자격을 갖도록 하여 준다. 주로 체언에 의존한다.
b.‘이다’가 다른 조사와 구별되는 점 : 다른 격조사들은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으나, 서술격 조사는 ‘이다. 이면, 이니’처럼 활용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② 활용 형태는 형용사와 비슷하다(‘이다’는 그 부정어인 ‘아니다(형용사)’와 비슷한 활용을 한다)
③ 서술격 조사의 종결 어미는 높임의 등분이 있다 -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하십시오체
ex) 이것은 연필이다 / 연필이네 / 연필이오 / 연필입니다
④ ‘이다’에 대한 적절한 이름 붙여 보기
a. ‘이다’는 선행 성분을 지정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소위 ‘지정사(指定詞)’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조사가 아닌 독립적인 품사로 설정하여 용언의 하나로 포함시킬 수 있다.
b. ‘이다’의 ‘이-’를 용언 아닌 성분을 용언으로 만들어 주는 소위 용언화 접미사로 본다면, ‘이다’는 접사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접사’라고 이름 붙일 수 있다.
c. 현행 학교 문법에서와 같이 ‘이다’를 ‘서술격 조사’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는 체언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격조사’라는 주장을 받아들이되, ‘이다’가 보여 주는, 용언과 같은 모습을 고려하여 ‘서술’이라는 말을 넣은 것이라 하겠다.

(2) 접속 조사
㈎ 개념 :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
㈏ 특징
㈀ 종류 : ‘-와/과, -(에)다, , -(이)며, -(이)랑’, -하고
ex) 봄이 되면 개나리 (와, 랑, 하고) 진달래가 가장 먼저 핀다.
㈁ 접속 조사는 때로는 생략이 가능하나, 그 경우에는 생략된 자리에 반드시 반점(,)을 첨가해야 한다.

㈐ ‘와/과’의 기능
㈀ 문장 접속

・‘철수와 영수’는 우등생이다. (철수는 우등생이다. + 영수는 우등생이다.)
・ 우등생인 ‘철수와 영수’를 본받아라.

‘와’는 ‘철수’와 ‘영수’를 묶어서 주어나 목적어가 되게 한다. 그리고 이 문장은 두 문장으로 분해될 수 있으므로 두 문장의 접속문이고 따라서 ‘철수와 영수는 우등생이다.’는 겹문장(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이다.

㈁ 단어 접속

․‘영수와 철수’는 아주 닮았다.(*영수는 아주 닮았다. *철수는 아주 닮았다)

‘와’ 성분이 주어 앞에 있으므로 함께 묶어서 주어가 된다. 그러나 두 문장으로 분해될 수 없으므로 문장 접속이 아닌 단어의 접속이다.(홑문장임). 이것은 대칭 서술어(‘같다, 다르다, 만나다, 마주치다, 닮다, 싸우다, 비슷하다, 결혼하다, 이별하다, 섞다, 잇다’ 등, 주어나 목적어로 나타나는 대상이 반드시 둘이어야 하는 서술어)만의 특징이다.

cf) 접속 조사? 부사격 조사?
‘와/과’ 등이 체언과 체언 사이에 쓰이지 않고, 체언과 용언 혹은 부사 사이에 쓰여 ‘함께’나 ‘비교’의 뜻을 가지는 것은 접속 조사가 아니라 부사격 조사이다.
ex) ・영희는 철수와 함께 학교에 갔다.(체언과 부사 사이 : ‘공동’의 의미)
・이것은 저것과 다르다.(체언과 용언 사이에 쓰임 : ‘비교’의 의미)

(3) 보조사
㈎ 개념 : (체언 뒤에 붙어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주지는 않고) 앞 말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주는 조사
㈏ 종류 : (문장 성분 뒤에 오는) 성분 보조사 / (문장 끝에 붙는) 종결 보조사 / (이 둘을 아우르는) 통용 보조사
㈀ 성분 보조사 : ‘만, 는, 도’와 같이 문장 성분에 붙는 것을 말한다. 이들은 주어에도 붙고 부사어에도 붙고 용언에도 붙어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① ‘은/는’- 대조 ex) 산은 좋지만 왠지 바다는 싫어.
② ‘도’ - 강조, 극단, 양보와 허용 ex) 구름도 쉬어 넘는 헐떡 고개 / 같이 가는 것도 좋습니다.
③ ‘만, 뿐’ - 단독 ex) 나만 몰랐어.
④ ‘까지, 마저, 조차’ - 극단 ex) 너마저 나를 떠나는구나.
⑤ ‘부터’ - 시작, 먼저 ex) 내일부터 좀 쉬어야겠다.
⑥ ‘마다’ - 균일 ex) 학교마다 축제를 벌이는구나.
⑦ ‘(이)야’ - 특수 ex) 너야 잘 하겠지.
⑧ ‘(이)나, (이)나마’ - 불만 ex) 애인은 그만두고 여자 친구나 있었으면 좋겠다.
㈁ 종결 보조사 : ‘마는, 그려, 그래’ 같은 보조사로, 이들은 문장 맨 끝에 와서는 ‘감탄’의 의미를 덧붙인다.
ex) 그가 갔다마는. 그가 갔네그려. 그가 갔구먼그래.
㈂ 통용 보조사 : ‘요’는 상대 높임을 나타내며 어절이나 문장의 끝에 결합하는 독특한 성격을 가진다.
ex) 오늘은요, 학교에서 재미있는 노래를 배웠어요.

※ ‘역시’의 의미를 가지는 보조사의 의미 차이 알아보기
공통점 - ‘이미 어떤 것이 포함되고 그 위에 더함’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 마저
하나 남은 마지막임을 뜻함.
ex) 너마저 나를 떠나는구나. / 노인과 아이들마저 전쟁에 동원되고 있다.
까지
그것이 극단적인 경우임을 나타냄.
ex) 너까지 나를 못 믿겠니? / 이 작은 시골에서 장관까지 나오다니.
조차
일반적으로 예상하기 어려운 극단의 경우까지 양보하여 포함함 나타냄.
ex) 너조차 가지 않겠다는 것이냐? / 그렇게 공부만 하던 철수조차 시험에 떨어졌다.


극단적인 경우가지 양보하여, 다른 경우에는 더 말할 것도 없이 그러하다는 뜻을 나타냄.
ex) 시간이 없어 세수도 못 하고 왔다. / 나도 이제는 늙었나 보다.

  1. 용언(用言)
  • 개념 :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단어의 묶음

(1) 동사, 형용사
• 동사
㈎ 개념 :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단어의 묶음
㈏ 종류
㈀ 기능에 따라
① 본동사 : 자립성을 가지고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며 단독적으로 서술 능력을 가지는 동사
a. 자동사 : 그 움직임이 주체인 주어에만 미치는 동사
b. 타동사 : 그 움직임이 주어 이외의 목적어에까지 미치는 동사
cf)1. 자동사라도 방향이나 처소를 나타내는 말이 목적격 조사를 취하여 목적어로 사용될 때에는 타동사로 본다.
ex) 학생이 학교에 간다.(부사어 + 자동사) / 학생이 학교를 간다.(목적어 + 타동사)
cf)2. 양양 동사(兩樣動詞) : 어형이 같으면서 자동사와 타동사에 두루 쓰이는 말
: 뛰다, 쉬다, 놀다, 날다, 불다, 자다, 떨다, 피다, 떠나다, 지나다, 다하다, 노래하다, 웃다, 싸우다
ex) ・뛰다 - 토끼가 깡충깡충 뛴다.(자동사), 단옷날 그네를 뛴다.(타동사)
・쉬다 - 바위에 앉아서 쉬었다.(자동사), 아파서 수업을 쉬었다.(타동사)
② 보조 동사 : 본용언 뒤에서 그것의 의미를 도와주는 동사

㈁ 주체 동작의 성질에 따라
① 행동의 자작성 여부에 따라
a. 주동사 : 주체의 직접적인 동작 b. 사동사 : 주체가 남에게 동작을 시킴
② 행동의 자발성 여부에 따라
a. 능동사 : 주체가 목적 대상을 향해 직접 행함 b. 피동사 : 주체가 남에게 움직임을 당함

• 형용사
㈎ 개념 : 주어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의 묶음
㈏ 종류 ㈀ 성상 형용사 :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ex) 고요하다, 달다, 예쁘다, 향기롭다 등
㈁ 지시 형용사 : 사물의 성질, 모양, 상태를 지시하는 형용사 ex) 이러하다, 그러하다, 저러하다 등

※ 동사와 형용사 구분하는 기준
① 동사는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과정)을, 형용사는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ex) 그는 자리에서 일어난다.(유정 명사의 동작) 피가 솟는다.(무정 명사의 과정)
과일은 대부분 맛이 달다.(성질) 꽃이 매우 아름답다.(상태)
② 기본형에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는-/-ㄴ-’이 결합할 수 있으면 동사이고, 결합할 수 없으면 형용사이다.
ex) 그는 자리에서 일어난다. (유정 명사의 동작) cf) 꽃이 매우 아름답다./아름답는다. (상태)
③ 기본형에 현재를 나타내는 관형사형 전성 어미 ‘-는’이 결합할 수 있으면 동사이고, 결합할 수 없으면 형용사이다. (‘본, 솟은’에 쓰인 ‘-(으)ㄴ’은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전성어미로서 형용사에 쓰이는 ‘-(으)ㄴ’과는 다르다.)
ex) 산을 {보는 / 본} 나 {솟는 / 솟은} 피
cf) 맛이 {
달는 / 단} 과일 매우 {*아름답는 /아름다운} 꽃
④ 어미‘-려’(의도)나 어미 ‘-러’(목적)와 함께 쓰일 수 있으면 동사, 그렇지 못하면 형용사이다.
ex) 김씨는 공책을 사러 나갔다. 철수는 영희를 때리려 한다.
cf) *영자는 아름다우려 화장을 한다. *영자는 예쁘러 화장을 한다.
⑤ 동사는 명령형 어미 ‘-어라’와 청유형 어미 ‘-자’와 결합할 수 있으나, 형용사는 결합할 수 없다.
ex) 철수야 일어나라. 우리 심심한데 수수께끼 놀이나 하자.
cf) 영자야, 오늘부터 착해라. 말자야, 우리 오늘부터 성실하자.

▲ ④-⑤ 이 기준은 사람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작 동사와 형용사에는 이 기준이 잘 적용되지만, 동사 가운데 자연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소위 작용 동사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즉, ‘솟다’는 ‘*솟아라, *솟자’가 불가능하다. 작용 동사가 사람의 의지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있다, 없다’도 ‘여기에 있어라/있자’는 가능하고, ‘없다’는 ‘여기에 없어라/없자’는 불가능하다. ‘있다’는 명령문과 청유문에 있어서 화자의 의지가 들어갈 수 있고, ‘없다’는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명령형과 청유형 어미 사용 여부 기준은 동사와 형용사의 변별 기준보다 의지 용언과 비의지 용언의 변별 기준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 다음 단어의 품사는?
㈀ 젊다 : 늙다
① 젊다(나이가 적고 혈기가 왕성하다) : 어떤 성질, 상태를 정태적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형용사로 분류
② 늙다(나이가 많아지다) : 주체의 움직임을 과정적, 동태적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동사로 분류
㈁ 있다 : 없다
‘있다, 없다’는 때로는 형용사에 일치하는 활용형을 보여주고 때로는 동사에 일치하는 활용형을 보여 준다. 때문에 형식상의 독자성과 ‘존재’라는 의미상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전통 문법에서 ‘존재사’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현재 학교 문법에서는 형용사로 구분하고 있지만 논란이 많은 부분이다.)
① <평서형 현재형>에서는 형용사와 같다. (but 평서형의 현재형에서 최근 들어 ‘있는다’가 되는 경향이 강하여 동사로서의 특징이 점점 두드러지고 있는 추세이다.)
② <관형사형>에서는 활용 방식이 동사와 같다. 즉 관형사형 어미를 취할 때 ‘-(으)ㄴ’이 아닌 ‘-는’을 사용한다.
③ ‘있다’는 명령형과 청유형을 취할 수 있음(있어라, 있자)에 비하여, ‘없다’는 명령형과 청유형(*없어라, *없자)을 취하지 못한다. - ‘있다’는 화자의 의지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
㈂ 이다 : 아니다
① 이다 : ‘이다’는 서술격 조사로 다른 조사와는 달리 활용을 하며, 체언과 용언의 명사형에 붙어 주어를 설명하는 서술어가 되게 한다.
② 아니다 : ‘아니다’는 활용 양상만 ‘이다’와 같을 뿐 자립성을 띠고 있으므로 형용사에 넣고 있다.

☞ 동사와 형용사를 나누는 기준은 상황에 따라서 예외적인 것도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것이라고 할 수 없다.

(2) 보조 용언(補助用言)
㈎ 본용언
㈀ 개념 : 스스로 자립하여 쓰여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용언. 단독으로 문장의 서술어가 될 수 있음.
㈏ 보조 용언
㈀ 개념 : 자립하여 쓰이지 않고 용언 뒤에 연결되어 그 의미를 도와주는 용언. 단독으로 문장의 서술어가 될 수 없음.
㈁ 구성 ① 용언 어간 + 보조적 연결 어미(아/어, 게, 지, 고) + 보조 용언 ex) 먹+어 보다.
② 용언 어간 + 명사형 전성 어미 + 보조사 + 보조 용언 ex) 춥+기+도 하다.
㈂ 종류
① 보조 동사 : 용언 뒤에 기대어 그 말의 문법적 의미를 더해주는 동사로, 양태적 의미만 더할 뿐 서술어 구실은 못한다. ex) 느낌을 적어 두다. : 느낌을 적다. / *느낌을 두다.
② 보조 형용사 : 형용사처럼 활용 ex) 나도 좋은 시를 많이 읽고 싶다. 오늘은 날씨가 춥지 않다.
㈃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의 구별
① 보조 동사를 식별하는 기준으로는 보조 동사만으로 문장이 성립되는가를 확인한다.
ex) ․날씨가 점점 추워 온다. : 날씨가 점점 춥다. / *날씨가 온다.
② 선어말 어미 ‘-는-/-ㄴ-’이 붙을 수 있으면 보조 동사, 그렇지 못하면 보조 형용사이다.
ex) 책을 읽어 본다.(보조 동사) / 책을 읽는가 보다.(보조 형용사)
③ ‘아니하다, 못하다’등의 부정 보조 용언은 선행 용언이 동사이면 보조 동사이고, 형용사이면 보조 형용사이다.
ex) 아직도 꽃이 피지 않는다.(보조 동사) / 이 꽃이 아름답지 않다.(보조 형용사)
④ 보조 용언으로서의 ‘있다’의 부정형은 ‘있지 아니하다(않다)’만 쓰이고 ‘없다’는 쓰일 수 없다.
ex) 아직도 꽃이 피어 있지 않다. *아직도 꽃이 피어 있지 없다.
⑤ ‘보다’는 보조 용언 이외에 본동사, 조사, 부사 등으로도 사용된다.
ex) 나는 꽃을 본다.(본동사) / 나는 너보다 잘 생겼다.(비교 부사격 조사) / 보다 멀리 생각하라.(부사)
(3) 용언의 활용
㈎ 활용
㈀ 개념 : 용언의 일정한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그 끝을 여러 가지로 바꾸는 현상
㈁ 활용 대상 -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 ‘이다’
㈂ 종류 a. 형태에 따라 ① 종결형 ② 비종결형 - 연결형, 전성형
b. 규칙에 따라 ① 규칙 활용 ② 불규칙 활용
㈏ 어미의 체계
㈀ 어말 어미
① 종결 어미 : 활용어가 문장의 서술어가 되어 그 문장을 종결시키는 형태의 어말 어미로 상대 높임법, 문장의 종류를 결정지어 준다. (평서형 ‘-다’, 의문형 ‘-느냐/-냐’, 감탄형 ‘-구나’, 명령형 ‘-어라’, 청유형 ‘-자’)
② 연결 어미 : 활용어가 스스로 문장을 종결시키지 못하고 뒤따르는 문장이나 용언을 연결시키는 형태의 어말 어미.
a. 대등적 연결 어미
・나열: -고, (으)며 ex) 스승은 없고, 교사는 있다.
・상반: -(으)나, -지만, -다만 ex) 영희는 집에 갔지만, 영미는 남아 있다.
・중첩: -든지 ex) 산으로 가든지, 바다로 가든지
・동시에 일어남: -(으)면서 ex) 음악을 들으면서 책을 읽는다.
b. 보조적 연결 어미 : 본용언과 뒤따르는 보조 용언이 어울려 하나의 서술어가 되게 하는 형태의 어말 어미.
‘-아/-어, -게, -지, -고’(용언 사이에 다른 말 끼워 넣을 수 있으면 대등적 연결 어미)
ex) 주영이도 의자에 앉아 있다. / 정영이도 학교에 가지 않았다. / 영숙이는 졸고 있다.
c. 종속적 연결 어미 : 두 문장을 주종 관계로 연결하는 형태의 어말 어미. ‘-고, -면, -(어)서, -니까’ 등

의 미
어 미

동시
-자(마)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원인
이유
-어(서), -(으)니(까)
머리가 아파 잠을 잤다.
-(으)므로
열심히 공부했으므로 후회는 없다.
-느라고
밤새 일하느라고 힘들었다.
양보
-어도, -더라도
아무리 시험이 어렵더라도 문제없다.
-든지, -(으)나
누가 무엇을 하든지 신경을 쓰지 않는다.
-거나, -(으)ㄴ들
네가 한들 무슨 수가 있겠니?
목적․의도
-(으)러, -고자, -(으)려고
공부를 하러 도서관에 간다. 책을 사려고 서점에 갔다.
미침
-게, -도록
공부하게 조용히 해라
필연․당위
-어야
산에 가야 범을 잡지
전환
-다가
웃다가 울었다.
비유
-듯(이)
땀이 비 오듯이 흐른다.
더함
-(으)ㄹ수록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③ 전성 어미 : 활용어가 문장의 서술어가 되면서 한편으로는 그 자격을 바꾸어 임시로 다른 품사처럼 쓰이도록 기능의 변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어말 어미.
a. 명사형 전성 어미 : ‘-(으)ㅁ, -기’
・한 문장을 명사처럼 만들어 체언과 같은 성분으로 쓰이게 하는 어미.
ex) 사랑은 눈물을 만들어 내는 것임을 알았다 / 공부하기가 너무 힘들다.
・‘-(으)ㅁ’은 용언을 명사로 파생시키기도 하는데, 명사형 앞에서는 부사어가 올 수 있으나, 파생 명사 앞에는 대체로 어색하다.
ex) 모양이 많이 다름.(명사형) / *많이 다름이 있다.(파생 명사)
b. 관형사형 전성 어미

시 제
어 미
동 사
형 용 사
과거
현재
-은/-ㄴ(동) -던(동・형)
-는/-ㄴ(동) -은/-ㄴ(형)
온 손님, 오던 손님
오는 손님
예쁘던 그 선녀
예쁜 그 선녀
미래(추측)
-(으)ㄹ
올 손님
예쁠 그 꽃

c. 부사형 전성 어미 : ‘-이, -게, -(아)서, -도록’
ex) 꽃이 아름답게 피었다.

▲ 7차 문법 교과서에서는 종래에 ‘부사형 어미’가 설정되지 않아 모호하고 불균형하게 기술되었던 활용 어미 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꽃이 아름답게 피었다’의 ‘-게’와 같은 것을 부사형 어미로 보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종속적 연결 어미’로 유도된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소의 종속절)’도 부사절로 볼 수 있다고 하는 학계 대다수의 태도를 수용하여 종속적 연결 어미도 부사형 어미로 볼 수 있는 점을 명시하였다. 이는 근본적으로 국어에서 부사절과 종속절(더 나아가 대등절)을 구별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 선어말 어미
① 개념: 어간과 어말 어미 사이에 오는 개방 형태소로, ‘시간, 높임, 공손’을 표시하는 어미를 뜻한다.
② 종류
a. 높임․공손 선어말 어미
・주체를 높이는 ‘-시-’는 주체에 연결되는 접미사나 조사와 호응을 이룬다.
ex) 형님이 오셨다(오시었다) / 할아버지께서 오시었다.
・주체 높임의 ‘-시-’와 공손의 뜻을 가지는 ‘-옵-/-사옵-’의 결합 형태는 주체에 대한 아주 높임이 된다.
b. 시제의 선어말 어미
・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는-’,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었-’,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겠-’
・'-겠-'은 미래에 속하는 일, 아직 미정적인 일을 나타내지만, 내용상으로는 여러 가지 양태적 의미도 나타낸다.
ex) 지금쯤 그는 고기를 잡겠다(추측) / 내일은 꼭 가겠다(의도나 의지) / 나도 그것쯤은 하겠다(가능)
③ 선어말 어미 제시 순서 : 선어말 어미의 차례는 일정하여 그 자리를 함부로 바꿀 수 없다. 둘 이상의 선어말 어미가 어울릴 때는 대체로 ‘높임 →시제 →공손’의 순서로 제시한다. ex) 하시었사옵고(하+시+었+사옵+고)

㈐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
㈀ 규칙 활용
①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어간이나 어미 모두 형태 변화가 없는 활용.
ex) 먹+어 → 먹어, 먹+고 → 먹고
② 형태 변화가 있어도 일정한 음운 규칙으로 설명되는 활용.
a. 모음조화 ex) 먹어, 잡아
b. 'ㄹ‘탈락 ex) 살다 - 사니, 삽니다, 사시오, 사오
c.‘ㅡ’ 탈락 ex) 쓰다 - 써 / 모으다 - 모아 / 우러르다 - 우러러
c′. 매개모음 ‘으’ 첨가
(‘ㄹ’ 이외의 자음으로 끝난 어간) + ‘으’ + (‘-ㄴ, -ㄹ, -오, -시, ㅁ’ 등으로 된 어미)
ex) 잡+ㄴ → 잡은, 잡+ㄹ → 잡을, 잡+시+고 → 잡으시고, 잡+ㅁ → 잡음

▲ 매개모음 - 두 형태소의 결합에서 발생하는 자음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그 자음들 사이에 삽입되는 모음.
국어의 대표적인 매개모음은 ‘으’로서 그것이 나타나는 위치는 체언과 조사 사이, 그리고 용언의 어간과 어미 사이이다. 즉,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고, 그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가 결합하여 음절구조가 복합해질 때 발음의 편의를 위하여, 충돌되는 두 자음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매개모음인 것이다.
매개모음의 예로서 용언의 어간과 어미 사이에 들어가는 것을 들어보면, ‘먹으니, 잡으니, 밝으니 ; 먹으면, 잡으면, 밝으면 ; 먹은, 잡은, 밝은’ 등에서 매개모음이 들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매개모음을 취하는 것이나 취하지 않는 것이나 이들의 기능 수행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예컨대 앞의 어간이 모음으로 끝날 때는 ‘보니, 보면, 본’ 등에서처럼 매개모음이 들어가지 않는데, 이들 예는 앞에서 든 매개모음이 들어가는 예와 아무런 의미 차이가 없다. 즉, 매개모음이 없이 어미 ‘-니, -면, -ㄴ’만으로도 충분히 제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니, -면, -ㄴ’을 기본형으로 삼고 앞의 어간이 자음으로 끝날 때 매개모음이 삽입된다고 기술하는 태도는 어미 형태와 그것의 의미 기능 간에 1대 1의 안정된 대응을 세울 수 있다는 일면의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형태와 기능 간에 꼭 맞아떨어지는 1대 1의 대응이 어디서나 언제나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가령 현대국어의 주격조사는 전혀 다른 두 형태 ‘이’와 ‘가’가 상보(相補)하여 동일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령 ‘-으면’과 ‘-면’의 교체 관계에서 ‘-면’을 기본형으로 잡는 한편, ‘-으-’를 따로 떼어내어 매개모음으로 처리하는 것이 유일한 설명방법은 아닌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으면’과 ‘면’의 교체 관계를 이형태(異形態)의 교체로 볼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굳이 매개모음을 설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매개모음의 설정을 어렵게 하는 현상으로는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과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연결되는 모든 경우에 매개모음 ‘으’가 삽입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국어의 음절구조상으로 볼 때에도 모음 간에 두 개의 자음을 허용하는 것은 아무런 무리가 있을 수 없는데, 예컨대 ‘먹다, 먹고, 먹지, 먹게, 먹는, 먹나’ 등에서는 어간과 어미의 결합에 있어서 두 자음이 충돌하고 있지만 ‘으’의 개입이 없는 그대로 자연스러운 것이다. 요컨대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라고 하여 그것들 모두가 매개모음의 삽입을 요구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국어학의 초기 단계에서는 매개모음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였으나 최근에 이르러서는 그다지 자주 쓰이지 않는다. 그 대신 어떤 어미가 ‘으’를 취할 경우, ‘으’를 가진 형태를 기본형으로 설정하고, 앞의 어간이 모음으로 끝날 때 ‘으’가 탈락된다고 설명하는 것이 새로운 경향이다.

㈁ 불규칙 활용 : 어간과 어미의 기본 형태가 유지되지 않을 뿐더러 일반적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활용.

① 어간이 바뀌는 경우

갈 래
내 용(조건)
용 례
규칙 활용 예
‘ㅅ’
불규칙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탈락
잇+어→이어, 짓+어→지어, 낫다(勝,癒)→나아, 붓다(注)→부어, 부으니
벗어, 씻어,
솟으니
‘ㄷ’
불규칙
‘ㄷ’이 모음 어미 앞에서 ‘ㄹ’로 변함
듣+어→들어, 걷+어→걸어(步), 묻+어→물어(問), 깨닫다, 싣다(載)
묻어(埋),
얻어(得)
‘ㅂ’
불규칙
‘ㅂ’이 모음 어미 앞에서 반모음‘오/우’로 변함
돕+아→도와, 곱+아 →고와, 눕+어→누워, (불에)굽+어→구워, 덥+어 →더워
굽어, 잡아,
뽑으니
‘르’
불규칙
‘르’가 모음 어미 앞에서 ‘ㄹㄹ’ 형태로 변함(‘으‘는 탈락)
흐르+어→흘러, 이르+어→일러(謂,早), 빠르+아 →빨라, 가르+아 →갈라(分), 배부르다
따라, 치러
우러러
‘우’
불규칙
‘우’가 모음 어미 앞에서 탈락
푸+어→퍼
주어, 누어
꾸어(꿔)

② 어미가 바뀌는 경우

갈 래
내 용(조건)
용 례
규칙 활용 예
‘여’
불규칙
‘하-’뒤에 오는 어미 ‘-아/-어’가 ‘-여’로 변함
공부하+어→공부하여, 일하+어→일하여
파+아→파
‘러’
불규칙
어간이 ‘르’로 끝나는 일부 용언에서, 어미 ‘-어’가 ‘러’로 변함
이르(至)+어→이르러, 누르(黃)+어→누르러,
노르+어→노르러, 푸르+어→푸르러
(위 단어에서만 발생하는 특수한 현상)
치러
‘너라’
불규칙
명령형 어미인 ‘-거라’가 ‘-너라’로 변함
오+거라 →오너라
가거라,
있거라
‘오’
불규칙
‘달-’의 명령형 어미가 ‘오’로 변함
다오(‘주다’의 보충법)
(남에게)
주어라

③ 어간과 어미가 바뀌는 경우

갈 래
내 용(조건)
용 례
규칙 활용 예
‘ㅎ’
불규칙
‘ㅎ’으로 끝나는 어간에 ‘-아/-어’가 오면 어간의 일부인 ‘ㅎ’이 없어지고 어미도 변함
하얗+아서→하얘서, 파랗+아 →파래
까맣다, 노랗다, 빨갛다, 뽀얗다
좋아서

▲‘-아라/-어라’와 ‘-거라’, ‘-너라’의 관계 : 종전에 어미가 바뀌는 경우의 불규칙으로 인정되던 ‘거라’ 불규칙이 이번 제7차 학교 문법에서 빠지게 되었다. ‘거라’ 활용은 ‘자다, 가다, 일어나다’뿐이 아니라 ‘보거라, 웃거라, 젓거라, 묻거라’ 등에서처럼 일반화되었기 때문에, 특별히 불규칙 활용으로 볼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이에 비해 ‘너라’ 불규칙은 이전이나 지금이나 ‘오다’라는 동사에서만 ‘오너라’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불규칙에 해당한다. ‘-거라’는 규칙 활용을 하는 명령형 어미로서 장년, 노년층에서 사용하는 세대 방언으로 볼 수 있으며, ‘-너라’는 이 ‘-거라’의 불규칙 활용을 하는 어미에 해당한다.

  1. 수식언
  • 관형어와 부사가 있으며 이러한 수식언은 활용하지 않는다는 형태상의 공통점이 있다.

(1) 관형사
㈎ 개념 : 체언 앞에 놓여서 주로 체언을 꾸며 주는 단어
㈏ 특성
㈀ 문장 안에서 관형어만으로 쓰인다.
㈁ 주로 명사를 꾸며 주며, 수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 불변어이고, 조사와 결합할 수 없다. ex) 새 옷 / *새가 옷, *새를 옷
㈃ 관형사가 나란히 놓일 때는 뒤의 것을 꾸미는 것처럼 보이나, 궁극적으로는 뒤따르는 명사를 꾸민다.
㈄ 관형사들은 여러 개가 동시에 나타날 때 일정한 순서를 지닌다. (지시 관형사 - 수 관형사 - 성상 관형사)
ex) 저 모든 새 집
㈐ 종류
㈀ 성상 관형사 : 체언의 성질이나 상태를 ‘어떠한’의 방식으로 꾸며주는 구실을 함.
① 관형사 vs 관형사형 ex) 새 집 vs 새로운 뉴스
② 접미사 ‘-的’이 붙는 말의 품사 분류 a. ‘-的 + 체언’→ 관형사 ex) 독립적 문장
b. ‘-的 + 조사’→ 명사, ex) 독립적인 문장
c. 용언이나 부사 앞에서 한정하는 ‘비교적, 가급적’ 등은 부사

㈁ 지시 관형사 :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 관형사
① 말하는 이가 주관적으로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 등을 가리켜서 꾸며주는 주는 구실을 한다.
ex) 이 운동은 마침내 국민들의 호응을 받았다.
② 발화 현장이나 문장 밖에 존재하는 대상을 가리킨다.
ex) 틀림없이 저 아이가 가져갔을 거야.(발화 현장에 존재하는 아이 지칭)
다른 분들도 그렇게 생각합니다.(문장 밖에 존재하는 사람 지칭)
③ ‘이, 그, 저’가 대명사로 쓰일 때에는 조사를 동반하는데, 비록 조사가 붙지 않았다 해도 내용상
‘이것, 그것, 저것’으로 대치할 수 있으면 관형사가 아닌 대명사이다.
ex) 이 가운데 → 이것 가운데

㈂ 수 관형사 : 수량을 나타내는 관형사
① 수 관형사는 사물의 순서(서수 관형사)나 양(양수 관형사)을 지시하여 꾸며 준다.
② 수 관형사는 대체로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앞에 오지만, 자립 명사 앞에도 온다.
ex) 잣나무 열 그루를 심었다. / 모든 학생들이 즐거워했다.
③ 수 관형사와 수사는 조사를 취할 수 있는가에 의하여 구별되는데, 조사를 취하면 수사이다.
ex) 첫째 분이 나의 형이다(수 관형사) / 첫째로 남에게 친절하라(수사)

㈃ 관형사와 접두사의 차이

관형사
접두사
① 체언 앞에서 그 뜻을 분명하게 제한하는 자립 형태소
② 분리성이 있어서 분포의 제약이 거의 없다
③ 그 자체가 독립된 단어로서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구를 형성한다.
① 어근의 앞에 붙어 의미를 제한하는 의존 형태소
② 분리성이 없어서 분포의 제약성을 가진다.
③ 명사와의 사이에 제3의 단어를 개입시킬 수 없고,
단지 파생어만 결합한다.

(2) 부사
㈎ 개념 : 주로 용언 앞에 놓여서 뒤에 오는 용언을 한정하여 그 의미를 더욱 분명히 해 주는 말
㈏ 특성
㈀ 격조사를 취하는 일은 없으나, 보조사를 취하는 일은 있다.
ex) 올 겨울은 너무도 춥다. / 세월이 참 빨리도 간다.
㈁ 용언 한정이 주기능이지만, 부사, 관형사, 체언을 한정하기도 한다.
㈐ 종류
㈀ 성분 부사
① 성상 부사 : 상태나 정도를 나타내면서 다른 말을 꾸미는 부사
a. ex) ┏ 상태: 빨리, 갑자기, 깊이, 많이, 펄쩍
┗ 정도: 매우, 퍽, 아주, 너무, 잘, 거의, 가장
b. 체언을 한정하기도 하는데, 대체로 정도, 위치, 수량을 나타내는 말과 어울린다.
ex) 아주 부자(정도) / 바로 앞(위치) / 겨우 셋(수량)
c. 의성 부사와 의태 부사도 동사를 꾸미는 기능을 한다.
┏ 의성 부사: 도란도란, 쾅쾅, 철썩철썩, 땡땡
┗ 의태 부사: 느릿느릿, 울긋불긋, 사뿐사뿐, 옹기종기, 깡충깡충
② 지시 부사 : 발화 현장을 중심으로 장소나 시간 및 앞에 나온 이야기의 내용을 지시하는 부사
a. 종류 ┏ 처소: 이리, 그리, 저리, 이리저리, 요리조리, 여기, 거기, 저기, 어디, 여기저기
┗ 시간: 오늘, 어제, 일찍이, 장차, 언제, 아까, 곧, 이미, 바야흐로, 앞서, 문득, 난데없이, 매일
b. ‘이리, 그리, 저리’는 처소 이외에 행동의 방식이나 문장 밖의 어떤 사실을 가리키는 데도 사용된다.
ex) 그리 가면 바로 남대문이다.(처소) / 누가 이리 장난이 심하냐?(행동 방식)
그리 말고 내말을 들어봐.(문장 밖의 어떤 사실)
③ 부정 부사 : 못, 안(아니) ex) 그는 안 일어났습니다. / 오늘 학원에 못 갔다.

㈁ 문장 부사 : 문장 전체를 꾸며 주는 부사
① 양태 부사 : 말하는 이의 마음 먹기, 태도를 표시하는 부사로, 문장 전체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기능을 한다.
a. 종류
・ 화자의 사태에 대한 믿음, 서술 내용을 단정할 때 쓰이는 부사 - 과연, 정말, 실로, 물론...
ex) 과연 그분은 위대한 정치가였다.
・ 화자의 믿음이 의심스럽거나 단정을 회피할 때 쓰이는 부사 - 설마, 아마, 비록, 만일, 아무리...
ex) 설마 거짓말이야 하겠느냐?
・ 희망을 나타내거나 가상적 조건 아래에서 일이 이루어지기를 바랄 때 - 제발, 부디, 아무쪼록...
ex) 제발 비가 조금이라도 왔으면 좋겠는데…….
b. 문장의 첫머리에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c. 그 의미에 상응하는 어미와 호응을 이룬다.
- 단정은 평서형, 의혹은 의문형, 희망은 명령문이나 조건의 연결 어미와 호응을 이룬다.
② 접속 부사 :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면서 뒤의 말을 꾸며 주는 부사.
ex) 연필 또는 볼펜을 사야겠다.(단어 접속) / 지구는 돈다, 그러나 아무도 그것을 믿지 않았다.(문장 접속)

▲ 품사의 통용

․ 이(지시 대명사)는 우리가 생각하던 바입니다. ․ 이(지시 관형사) 나무는 모양새가 아주 좋군요.
․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 다섯(수사)이 모였어요. ․ 야구를 좋아하는 다섯(수 관형사) 사람이 모였어요.
․ 여기(지시 대명사)에 물건을 놓아라. ․ 물건을 여기(지시 부사) 놓아라.

⑴ 품사의 통용의 다른 예 ․ 아니 - 오늘은 아니(부사) 온다더라. / 아니(감탄사)! 벌써 갔어?
․ 평생 - 그는 평생(명사)을 바쳐 봉사하였다. / 평생(부사) 놀고 먹었다.
․ 대로 - 본 대로(명사) 말하십시오. / 선생님 말대로(조사) 하면 좋아.
⑵ 품사 통용을 지지하는 근거
단어들 가운데는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문법적 성질을 함께 보여주는 경우를 ‘품사의 통용’이라고 하는데, 전통 문법에서는 한 품사에서 다른 품사로 전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여 왔다. 이러한 현상을 전성으로 처리할 때에는 기본이 되는 품사를 결정해야 하는데 그 기준을 결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전성의 절차를 형태론적으로 형식화하기가 쉽지 않아서 문제가 된다. 따라서 한 단어가 둘 이상의 품사적 기능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⑶ 품사 통용을 반대하는 근거
이상적으로 단어는 형태와 기능이 일대일(一對一)로 대응하여야 한다. 품사 통용을 인정할 경우에는 형태와 기능이 일대다(一對多)로 대응되어 오히려 복잡해지므로, 이러한 기술은 언어 현상 기술을 복잡하게 할 수 있다.

  1. 독립언
  • 문장 속의 다른 성분에 얽매이지 않는 독립성이 있는 문장 성분.

• 감탄사
㈎ 개념 : 화자의 부름, 대답, 느낌, 놀람 등을 나타내면서, 다른 성분들에 비하여 비교적 독립성이 있는 말.
㈏ 특성
㈀ 형태가 변하지 않으며 놓이는 위치가 자유롭다.(대답하는 말은 문장의 첫머리에만 놓인다.)
ex) 있지, 나 할 얘기가 있어. (상대방을 의식하며 자기의 생각을 표시하는 의지 감탄사)
남편이 어디 어린앤가? (상대방을 의식하지 않고 감정을 표출하는 감정 감탄사)
실직자 수당이라든가 뭐 그런 게 충분하면 좋으련만. (입버릇이나 더듬거리는 의미 없는 소리의 감탄사)
㈁ 조사와 결합하지 않는다.
㈂ 독립어로만 쓰인다.(감탄사는 모두 독립어이나, 독립어가 모두 감탄사는 아니다)

㈐ 종류
㈀ 감정 감탄사 : 상대방을 의식하지 않고 감정을 표출하는 감탄사(기쁨, 성냄, 슬픔, 한숨, 놀라움)
ex) 허허, 에끼, 아이고, 후유, 에구머니, 아뿔사 …
㈁ 의지 감탄사 : 상대방을 의식하며 자기의 생각을 표시하는 감탄사(단념, 독려, 부름, 긍정, 부정 및 의혹 표시)
ex) 아서라, 자, 여보, 여보세요, 이봐 - 상대방에게 어떻게 행동할 것을 요구
응, 네, 그래, 천만에 - 상대방의 이야기에 대해 긍정이나 부정 혹은 의혹을 표시
㈂ 입버릇이나 더듬거리는 의미 없는 소리
ex) 말이지, 어, 아, 에, 에헴

Sort:  

Congratulations @jed1995!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1 year!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Coin Marketplace

STEEM 0.30
TRX 0.12
JST 0.034
BTC 63750.99
ETH 3130.22
USDT 1.00
SBD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