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쟁사 연구) 6.25 초기 작전과 자료의 문제

한국전쟁은 미국과 중국 그리고 러시아가 참가한 국제적인 규모의 전쟁이다. 유엔군도 참전했으니 참전국 규모만 해도 20개국이 넘는다. 전쟁에 관한 자료들은 모두 각국이 보유하고 있다. 당연히 가장 많은 자료를 가지고 있는 국가는 미국이다. 중국과 러시아의 자료들은 아직 제대로 개방되어 있지 않다. 중국과 러시아는 민감한 자료들은 개방하지 않고 있다. 자신들이 필요하거나 유리한 자료들만 선별적으로 개방한다.

미국이 가장 폭넓게 자료를 개방하고 있지만 아직 우리는 선별적으로 개방된 자료들에 입각하여 역사를 기술할 수 있을 뿐이다. 당연히 아직까지 개방된 자료들만 가지고는 한국전쟁의 전모를 파악하기 어렵다. 아마 오랜 시간이 지나 한국전쟁이 현실의 문제가 아니라 완전히 과거의 문제가 되어야 한국전쟁에 관한 자료가 개방될 것이고 그래야 우리는 실체적 진실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접근의 제한성을 볼때 우리가 알고 있는 한국전쟁의 진행과정도 상당히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한국의 전사기록은 완전하게 개방되어 있는 반면, 북한의 전사기록은 아직까지 하나도 개방되지 않았다. 실제 전투와 작전이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전사기록과 우리의 기록을 서로 대조해야 할 것이다. 유엔군이 참전하고 중공군이 개입했을때는 각각 기록이 작성되어 발간되었기 때문에 그래도 전투경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유엔군과 중공군이 참전하기 이전의 전투에 대한 기록은 한국과 북한에만 남아 있다. 중국은 자신들이 참가한 이후의 전투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지고 정리했고 미국은 낙동강 이후 작전부터 본격적으로 정리를 했다. 따라서 미군과 중공군이 참가한 전투에 대한 기록은 비교적 제대로 기록이 되어 있다.

그러나 전쟁초기에 대한 기록은 매우 객관성이 떨어진다. 우리는 북한군의 전사기록을 전혀 보지 못한 상태에서 전사를 기록했다. 아마 북한군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전사를 기록했을 것이고 한국군은 한국군이 유리한 방향으로 기록했을 것이다. 최소한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북한군의 전사기록을 참고했으면 좋겠지만 그럴 수는 없다. 전사기록을 일반으로 공개하는 우리와 달리 북한은 상세한 전사기록은 군사비밀로 취급한다고 한다.

북한군의 기록을 구하기 어려우면 우리의 기록이라도 제대로 갖추어져 있으면 된다. 그런데 한국전쟁을 살펴보면서 우리의 기록들이 너무 빈약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한국전쟁에 관한 국방부와 육군의 자료는 모두 공개적으로 발간이 되었는데 그 양이 책 100여권에 불과하다. 전쟁 당시의 작전명령과 전투상보등이 게재되어 있는 책으로 지금 현재 육군군사연구소에서 탈초작업을 하고 있다고 한다. 그 자료는 국회도서관에서도 찾아 볼수 있다.(한국전쟁사료, 육군본부)

문제는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한국전쟁의 작전과 전투에 관한 자료가 100여권 정도의 책자에 수록될 정도 밖에 안된다는 것이다. 물론 우리나라에는 한국전쟁에 관한 자료들이 그 정도 밖에 없었던 것은 아니다. 문제는 한국전쟁의 작전과 전투에 관한 상당수의 기록들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6.25 전쟁 발발이후의 초기 기간 동안에 관한 기록들은 거의 사라지고 없다.

우리가 당시의 기록을 많이 보유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 육군본부가 발간한 한국전쟁사료를 살펴보면 전쟁초기 부분의 기록들이 제대로 수록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전쟁초기의 상황의 긴박하여 자료를 제대로 관리를 하지 못해서일까 ? 물론 그럴 수고 있다. 아니면 고의로 없애 버렸을까 ? 아무런 증거도 없다. 무엇이라고 추측하기는 어렵다.

문제는 전쟁초기 주요 지휘관들의 작전지휘 실패를 은폐하기 위해서 당시 기록을 고의적으로 없앴을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나마 남아있는 기록중에서도 전쟁초기의 기록중에서 당시 초기 작전과 전투의 패배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 관한 부분들이 없는 것을 우연이라고 해야할지 고의라과 해야할 지 알수 없다.

결국 한국전쟁 초기 작전에 관해서 보다 정확한 기록을 위해서는 북한의 전사기록과 한국전 당시 북한에 고문관을 파견했던 소련 문서고의 자료가 제대로 발굴되어야 한다.

(한국전쟁사 연구) 6.25 초기 전투가 잊혀진 이유와 한국군의 지적 능력

(한국전쟁사 연구) 6.25 기습남침론의 다탕성에 대한 검토 4 (종합)

(한국전쟁사 연구) 6.25 기습남침론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 3(기습의 작전적 전술적 측면), post 7

(한국전쟁사 연구) 6.25 기습남침론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 2(기습의 전략측 측면), post 6

(한국전쟁사 연구) 6.25 기습남침론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 1, post 5

(한국전쟁사 연구) 초기 전사기술의 문제점 post 4

(한국전쟁사 연구) 잘못한 작전과 전투에 대한 연구가 소중한 이유, post 3

Sort:  

a very great work,you are truly amazing sir,very meaningful article @wisdomandjustice

대박사건!!

과거는 지나간 일이고...

더 이상 전쟁 없이 평화가 찾아오기를...

응원합니다. ^&^

문제는 전쟁초기 주요 지휘관들의 작전지휘 실패를 은폐하기 위해서 당시 기록을 고의적으로 없앴을 가능성

위즈덤님의 분석이 타당성 있어 보여요
역사는 충분히 변질되고 왜곡될 수 있으니..
고종에 대한 내용도 후손들이 잘 못 알고 있는 게 많다고 하더라고요..일본이 나약하고 무능한 군주로 전락시켰다는데
제가 국사를 배울 때 고종에 대해 부정적으로만 배웠었답니다
어디에서부터 바로잡아야 할까요..
오늘도 좋은 글 감사드려요

제가 보팅파워 회복 중이라 댓글만 남기는 점 이해해주세요ㅠ
피라미라 스파가 많지 않지만 그래도 몰랐던 역사를 알려주시는데 대한 감사의 표시를 하고 싶거든요
빠방 채워서 다시 들르겠습니다^-^

이런 역사적으로 중요한 자료가 제대로 남아있질 않다니..
참 말이 안되는 상황이고 허탈해지는 일이네요

초기 기록이 제대로 안되어있어도 이상하지 않은게 수장부터 거짓말하고 도망치기 바빴으니....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3
JST 0.032
BTC 60782.22
ETH 2915.02
USDT 1.00
SBD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