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인터뷰 번역] 우지한과의 인터뷰 1부/BCH 탄생비화/미래로 나아가는 길

in #coinkorea6 years ago

시스템에 없던 돈이라는건 아직 마이닝 되지 않은 비트코인 같은걸로 해석했는데 기존의 것을 조작하지 않고 계속 51퍼센트해시를 유지하면서 나머지 49퍼센트 해시를 가진 노드들을 무시하는 경우를 말씀드리는 겁니다

Sort:  

제가 질문을 제대로 이해한건지는 모르겠습니만,
낮은 해시를 가진 노드를 무시하는건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일이죠.낮은 해시를 가졌다는건 블럭을 생성할 확률이 낮다는 것이고,그러면 당연히 네트워크 상에 전파되는 일도 늦을 테니까요.낮은 해시를 가진 노드들이 블럭을 뒤늦게 생성해 본들 결국 포크 체인이 될 뿐이니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한테도 무시를 당하게 되겠죠.

51%해시를 가진다는것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그 해시를 이용해서 악의적인 행동을 하는게 문제가 됩니다.

그래서 예전에 어떤 마이닝 풀은 사람들이 몰려서 자신의 해시해이트가 51%에 거의 도달하게 되자,선제적으로 나서서 우리들은 51%해시를 확보하더라도 악의적인 행동을 하루생각은 없다고 발표함으로서 시장을 안정시키려고 한 사례도 있죠.

가장 많은 해시파워를 가진 사람이 51퍼센트의 해시파워만 넘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이 그가 만든 블록을 무시할수 있죠. 그러나 51퍼센트이상이 한사람에게 독점돼있을경우 계속 나머지 49퍼센트가 만든 블록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한사람이 계속 새로운 비트코인을 마이닝 할 수 있습니다

노드를 무시한다는것이 블럭을 거부 하는것을 말씀하시는 거였군요.그게 바로 악의적인 행위이죠.유효 블럭거부,유효 트랜잭션 거부,유효 주소거부 등등의 마이닝독점을 이용한 악의적인 행위는 당연히 문제가 되겠죠

Coin Marketplace

STEEM 0.28
TRX 0.11
JST 0.030
BTC 67124.23
ETH 3753.43
USDT 1.00
SBD 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