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Funding] 56인의 EOS Token 참여 -- 2 가지 제안 사항

in #kr7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koreaculture 입니다.

해당 포스팅의 모든 Reward는 [Kr-Funding] 56인, EOS Token용 입니다.

이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요며칠 Qtum 과 다른 먹거리(?)에 시간을 뺐겨서 포스팅을 소홀히 했네요.
그나마 펀딩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분발 하도록 하겠습니다.

펀딩에 대한 2가지 제안


지난 포스팅에서 댓글로 나온 의견을 공유드리고,
다른 분들의 생각이 어떠한지 의견을 나누어 보았으면 합니다.

1. 56인의 참여율 높이기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별도의 소통창구 (스팀 단체 챗 ? 카톡 ? ) 만드는 방법입니다.
개인적인 1인의 생각으로는 자율성을 높이는 방법에 더 중점을 두고 싶습니다만
다른 분들의 생각이 어떠한지요?
또한 다른 좋은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 별도 Tag 사용 + 포스팅 횟수 높이기 (1일 1회 포스팅)

현재 포스팅은 주 2~3로 하겠다고 밝힌바가 있습니다.
포스팅 횟수를 늘려보자는 의견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1일 1회를 일단 제안하셨습니다. -- 펀딩 금액 확보
포스팅 적정 횟수에 대한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만약 하게 된다면 단순히 펀딩을 위한 내용이 없는 포스팅이 아닌, 최대한 성의있는 포스팅을 저도 하려고 합니다. (펀딩 글 + 뉴스 라던지) 부담이 조금 되긴 합니다.

별도 Tag 사용은 글쓴이 재량으로 보고 어렵지도 않기에 바로 적용하도록 하겠습니다.
#eos56 를 별도의 tag로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검색해서 포스팅에 보팅을 해주시면 됩니다)

글쓴이의 한마디

  • 다같이 만들어가는 펀딩이 되었으면 합니다. ^^

History


  1. Kr-Funding 을 모집합니다. (Token ICO 참여용)
    https://steemit.com/kr-funding/@koreaculture/kr-funding-token-ico

  2. Kr-Funding 진행경과 + EtherWallet 주소 공유
    https://steemit.com/kr-funding/@koreaculture/kr-funding-etherwallet

  3. [Kr-Funding] 56인의 EOS Token 참여 --- Token Claim 완료 (42/560)
    https://steemit.com/kr-funding/@koreaculture/kr-funding-56-eos-token-token-claim-42-560


해당 포스팅의 모든 Reward는 [Kr-Funding] 56인, EOS Token용 입니다.

@onenine @booja @sigizzang @jaytop @cljg918 @cheongpyeongyull @brent1042 @acceptkim @leomichael @kim066
@tosintosin @iieeiieeii @beajinsu @clarkgold @kingbit @yoon @nhj12311 @musicholic @leesunmoo @soon8013
@hwantag @injungyoon @min-ilkka @cjsdns @sooho @jjy @sjchoi @stellasjshin @honors @successtrainer
@soyouhae @jejujinfarm @girina79 @selly @kkw @valueup @indend007 @cheolwoo-kim @siritable @jungs
@floridasnail @innovit @jack8831 @wony @hwavoon @toktok @ninzacode @uksama @tommycoin @staro
@paradigms @ico-altcoin @peterwoo @jung5000 @ludorum

9월 중순에 테스트넷이 진행되기에 그 전까지 많은 수량을 모으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향후 관련 포스팅을 주 2~3회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의 보팅 요청 드리며, 의견은 자유롭게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Sort:  

수고가 많습니다.
eos56도 좋은 생각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즐스팀하세요.

네 감사합니다.
혹시 다른 것 -- 소통창구와 포스팅 적정 횟수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이신지요?

저도 텔레그램 좋습니다.
포스팅에 관해서는 생각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너무 자주하면 @koreaculture 님도 어려우실 것 같고, 다른 분들도 신경쓰일 것 같습니다. 적당한 선이 어느 정도 일지... 단순 계산으로도 13번 정도는 더해야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여러분의 의견을 따르겠습니다.

미리 알았더라면 저도 참여했을텐데 아쉽군요 ㅎㅎ 화이팅입니다 !!

댓글이라도 감사합니다 :D

eos수량을 맞추는 방법차원에서도 1일 1포스팅이 나은듯한데 일단 풀보팅하고 갑니다 ㅎㅎㅎ

1 번 - 소통 창구에 대한 의견은 어떠신지요?
2번 - 찬성, 1일 1회 포스팅

의견 감사합니다.

Definitely worth an upvote and a resteem :]

Thanks~

Very interesting great greetings from venezuela here I will leave a link for those who can help me thanks! https://steemit.com/help/@gr3g0r/hi-i-m-from-venezuela

#eos56 좋은것 같습니다. 그런데 역시 지난번 참여하셨던 분들이 이 글 또한 읽지 못하는 일이 생기는 것 같군요. 그리고 1일 1포스팅은 @nhj12311께서 펀딩 금액을 높이기 위한 방법인것 같은데 펀딩 금액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좋긴한데 이곳 스팀잇 생태계상 어떻게 받아 들일지 모르겠군요. 사실 펀딩 목적이라면 그날 시세 정도 올리고 보팅하면 되긴 하지만 왠지 조심스럽긴 하네요.^^

저도 그 부분이 우려스럽습니다.
스팀 생태계가 자율적이기 때문에, 어느정도까지 용인 할 것인가의 기준을 세우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자율적이기 때문에, 여럿의 의견을 받아서 시도는 해봄직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어짜피 이 부분은 투자를 목적으로 시작된 부분이니 투자와 수익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진행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보팅 파워가 다들 차이가 나지만 균등하게 나누는 상황에서 품앗이 느낌도 들고 1일 1보팅 정도는 나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카톡이랑 별반 차이는 없지만 텔레그램도 좋지 않을까 싶구요..뭐든 상관은 없을것 같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스팀잇을 자주 들어와 이용하기는 하지만 스팀챗보다는 카카오 오픈 카톡을 이용하여 의견과 정보를 나누는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포스팅의 경우 1일 1포스팅이 되면 좋겠지만 참여자들간의 별도 채팅방이 개설이된다면 주 1회의 채팅방내 의견을 종합한 내용과 진행사항등이 공지되는 포스팅만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1. 찬성 - 카카오 오픈 카톡을 위한 소통 창구
  2. 반대 - 주 1회 포스팅
    라고 받아들이면 될까요? -- 1일1 포스팅의 주요 목적은 펀딩 금액 확보입니다 :D

별도의 sns보다 1일 1포스팅으로 먼저 의사소통을 해보고 부족하다 싶을때 슬랙, 텔레, 카톡 등의 채널을 여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제가 1일 1포스팅을 제안드린 의도는 eos 펀딩 금액 확보 차원이었습니당^^

1번 (소통창구) 에 대한 의견은 어떠신지요?

카톡창으로 공지사항올리시는 거 찬성입니다. 태그는 좋네요~ 그리고 1일1포스팅에 한표요.

의견 감사합니다. 둘 다 찬성이시군요.
공지라기 보나 Information 정도로 쓰였으면 하네요 :D 의견이 있으면 나누면 되고요.

포스팅에 보팅하는 것은 가능한데, 카톡을 사용하지 않아서 카톡공지는 확인하기 어려울 것 같네요ㅠㅠ 다만 펀딩이 보팅으로만 이루어진다거나 스팀잇내에서 가능한 일이라면, 신경써서 포스팅을 찾아보고 따라가겠습니다!!

네 오로지 보팅을 통해 스팀잇 내에서만 가능합니다 :D
두 제안 모두 결국 참여를 높이는 것이 사실상의 목적인 것 같습니다 :D

잘보기 어려우니 텔레그램 그램으로 구룹체팅 제안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4
TRX 0.11
JST 0.029
BTC 69188.87
ETH 3670.63
USDT 1.00
SBD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