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2018-11 증인 보고서 #2

in #kr6 years ago (edited)

개인회사라고 천명한 것과 같이 집에서 영업하나보네요:-), SMT를 개발한다는 것이 사람들을 모아놓고 개발시키는 형태가 아닐수도 있겠지요. 그러니 의사결정이나 진행속도가 거북이가 되겠지요. 투명하고 안하고의 문제는 아닌것 같습니다.

투명하다고 생각하는 근거는 주식회사처럼 투자한 돈에대한 재무사항이 일목요연하게 살필수 있는 경우인데, 블록체인에서는 스팀의 흐름을 투명성의 근거로 잡지요. 그렇다고 스팀을 사려고 투자한 법화가 어떻게 쓰였는지를 보여줄 의무는 없겠지요. 스팀을 상품으로 만들었고 그것을 샀으면 그것을 산 돈이 어떻게 쓰였는지를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것이지요. 판매자에게서 제품을 샀는데 내 돈을 니가 무엇에 쓰는지 알려달라고 하는 꼴인거 같습니다. 주식회사에 기준을 맞추기에는 가상화폐 이코노미가 성격이 다른 것 같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스팀을 좋게 보았던것은 이들이 ICO를 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물론 누군가가 초기 자본을 주었겠지요.) 따라서 스팀재단도 저와 같이 스팀을 투자한 개인사업자일 뿐이지요.

단, 스팀재단은 노드를 운영하는 증인들의 중재자정도의 역할과 그들이 보유한 막강한 스팀을 근거로 스팀생태계만을 유지하겠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SMT는 여러 개인개발자와의 co-work을 하는데 생각보다 진척이 빠른것은 아닌것 같기도 하고요.

저도 스팀의 구성원으로서 또하나의 개인 사업자이고요. 그러니 엄밀하게 따지면 그들의 자금 사용 근거를 보여줘야 하는 이유는 없겠지요. 이것이 어찌보면 스팀잇의 최고의 장점이자 단점인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차라리 어느 고래가 막강하게 스팀을 사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제2의 dapp을 개발하여 스팀의 베타딱지를 떼는 것이 더 빠를것도 같네요:-) 저는 스팀몬스터에대하여 관심이 없지만 스팀몬스터처럼 외연확장도 되고 인지도가 더 커지면 스팀베타를 먹어버릴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Sort:  

고견 감사합니다.
그렇네요 결국은 스팀잇도 어떻게 생각하면 하나의 개인 사업자로 볼 수 도 있겠네요.
이렇게 또 하나 배워갑니다 ^^

스팀의 베타 딱지는 아마도 떼지않을 것 입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스팀의 베타 딱지는 아니고 스팀잇의 베타딱지지요.
어디선가 웹 개발(스팀잇) 쪽은 더이상 하지 않고 Dapp에게 맡기다고 한것 같아요

Coin Marketplace

STEEM 0.24
TRX 0.12
JST 0.030
BTC 69837.94
ETH 3620.96
USDT 1.00
SBD 3.20